아이가 사고를 당하고 병원에서 일단 수혈이 급합니다 이런 말 많이 하잖아요
혈액형 RH-A RH+A RH-B RH+B RH-AB RH+AB RH-O RH+O 이렇게 혈액형이 있잖아요 혈액형에 RH+는 뭐고 RH-는 뭐예요
Rh혈액형은 ABO혈액형 다음으로 중요한 혈액형입니다.
Rh혈액형군에는 D, C, c, E, e 등을 포함 약 50여가지의 혈액형이 존재합니다. 이 중 면역학적인 반응을 가장 강하게 일으키는 것은 D항원이며, 우리가 보통 Rh형이라고 하는 것은 바로 RhD 혈액형을 지칭합니다. Rh가 양성인 경우는 D 항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고 Rh가 음성인 경우는 D 항원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RH는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인데, 혈액형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RH+는 이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RH-는 이 단백질이 부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RH+는 RH 단백질이 존재하는 경우로, RH+ 혈액을 가진 사람은 이 단백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RH+ 혈액을 받아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RH- 혈액을 받을 경우, 자신의 혈액과 호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임신 중인 여성에게 특히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임신 중, RH- 혈액을 가진 여성이 RH+ 혈액을 가진 태아를 임신하게 되면, 태아의 RH+ 혈액이 어머니의 혈액에 접촉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태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RH+ 및 RH-는 혈액형 분류에서 Rh 인자(Rhesus factor)의 존재 여부를 나타냅니다. RH+는 적혈구 표면에 Rh 단백질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약 85%)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반면 RH-는 Rh 단백질이 없음을 의미하며, 상대적으로 드뭅니다. 이 구분은 수혈 시 매우 중요한데, RH- 혈액형을 가진 사람에게 RH+ 혈액을 수혈하면 심각한 면역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임신 시 RH- 모체와 RH+ 태아 사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응급 상황에서도 가능한 한 동일한 RH 유형의 혈액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혈액형에 RH+는 Rhesus 인자가 있는 혈액을 의미하며, RH-는 Rhesus 인자가 없는 혈액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형 RH+는 A형 혈액에 Rhesus 인자가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O형 RH-는 O형 혈액에 Rhesus 인자가 없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혈액형을 표기할 때 RH 부분은 Rhesus 인자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Rh 혈액형은 ABO식 혈액형 다음으로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혈액형입니다. Rh 혈액형군에는 D, C, c, E, e 등을 포함하여 약 50여가지나 되는 혈액형이 존재합니다. 이 중 면역학적인 반응을 가장 강하게 일으키는 것은 D 항원이며, 우리가 보통 Rh형이라고 하는 것은 바로 RhD 혈액형을 지칭합니다. Rh가 양성인 경우 (RH+)는 D 항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고, 반대로 Rh가 음성인 경우(RH-)는 D 항원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입니다. RhD 음성인 사람의 비율은 서양에서는 약 15% 정도로 동양인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약 0.1-0.3%로 매우 드물며, 따라서 RhD 음성 환자에게 수혈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 때로는 빠른 시간 내에 충분한 양의 적합한 혈액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Rh는 ABO식 혈액형과 별도로 존재하는 혈액형입니다.
수혈 시 Rh식 혈액형과 ABO식 혈액형을 둘 다 고려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Rh+A형/ Rh-A형은 서로 응집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수혈할 수 없습니다.
(Rh+형은 Rh-형을 소량 수혈가능)
Rh혈액형은 +와 -의 두 형이 있습니다.
적혈구에 존재하는 D항원의 유무로 구분하며 D항원이 존재하면 Rh+ 없으면 Rh-형입니다.
Rh+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Rh-형의 경우 희귀한 편입니다.
Rh-형은 Rh-형끼리만 수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수혈을 받아야 할 때 혈액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동아시아인의 경우 0.5%만 Rh-형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