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코인 손실 난 포지션은 오래 붙잡게 될까요?
코인 구매하고 손실이 나면...
이상하게 오래 붙잡게 되더라구요.
왜 손실을 인정하기 싫어할까요?
저의 개똥 자존심이 너무 궁금해요....
왜 이러는지 꼭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윤상호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본능입니다. 매도하게 되면 손실이 확정되기 때문에
혹시나 하는 마음에 장기보유하거나 물타기를 하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입니다.
그런 경우는 생각대로 반등을 하지 못하면 손실이 더 커지기 때문에 큰 실패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에 성공하려면 그 반대로 움직여야 합니다.
본인의 원칙과 손절기준을 정하고 칼같이 대응해야 합니다.
그래야 투자할 확률이 올라갑니다. 물론, 쉽지 않습니다.
대부분 투자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성공의 원인으로 본인의 투자기법이 아니라
원칙을 지키는 것과 손절을 칼같이 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인 투자로 손실이 나면 장기 투자로 이어지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손실이 나면 장기 투자로 버티면 손실을
만회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은 손실회피효과성향이 강하며 동일한 이익과 손실이더라도 오히려 2.5배이상 강한 상실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평가손실을 아예 매도를 하여 확정손실을 하는행위가 매우 어려운결정입니다 이로인하여 코인의 손실난 포지션뿐만 아니라 주식도 마찬가지이며 특히 코인에 대해서 막연하게 오른다는 기대감과 그리고 변동성이 크다는점만 믿고 쉽게 팔지 못하고 붙잡으면서 손실이 누적되고 자산이 쪼그라지는 경험을 갖게 되는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실을 오래 유지하는 이유는 손실회피 성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하여 쉽게 매도를 결정하지 않는 선택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실 난 코인을 오래 붙잡는 건 사실 사람 심리가 그렇게 작동해서 그렇습니다. 보기에 이미 산 가격이 기준점이 돼서 그보다 낮아지면 손실 확정이 싫은 거죠. 조금만 더 버티면 오르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섞이고요. 현실적으로 보면 이건 손실회피 편향이라고 부르는 심리라서 누구나 빠지기 쉽습니다. 웃기지만 수익 났을 때는 금방 팔아버리고 손실 난 건 괜히 끝까지 들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간은 같은 금액의 손실을 이익보다 2~2.5배 더 크게 느끼기 때문에, 손실을 확정하는 순간의 심리적 고통을 피하려 합니다. 그래서 “언젠간 오를 거야”라는 희망으로 손실을 정당화하며, 자신의 판단이 틀렸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심리가 작동합니다.
지적하신대로 손절은 실패의 인정처럼 느껴져 자존심에 상처를 주기 때문에, 포지션을 오래 붙잡으며 스스로를 위로하고 방어하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것은 코인뿐만 아니라 주식시장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대부분의 초보 투자자들이 실수 하는 부분이 손절을 못하는 것입니다.
손실이 발생한 자산을 매도하는 순간 손실이 확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더 큰 수익과 발전이 있으려면 반드시 손절이 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실을 보면 인정하기 싫은 심리가 작용해 쉽게 정리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손실 회피 성향이라고 부르며 인간의 본능적 자존심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결국 심리 관리가 투자에서 중요한 이유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를 하면서 손실을 보지 않고자 하는 심리는 정상적인 것입니다. 나중에 오를것이라는 기대감과 실제로 오른 사례를 경험했다면 나중에 손실을 회복할수 있을것이라는 희망감이 코인을 매도하는데 오랜 기간이 걸리게 할수 있습니다 .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에서 손실 난 포지션을 오래 붙잡고 있는 현상은 개인적인 '개똥 자존심'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인 심리와 인지 오류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를 경제학과 심리학에서는 '손실 회피'와 '처분 효과'라는 용어로 설명합니다. 손실 회피는 사람이 같은 크기의 이익에서 얻는 만족가보다 손실에서 느끼는 고통을 약 2배 더 크게 인식하는 심리 현상입니다. 투자자가 100만 원의 수익을 보는 기쁨보다 100만 원의 손실을 보는 고통을 훨씬 더 강하게 느낍니다. 손실을 확정하는 순간 그 고통이 현실화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매도를 미루고 '아직 팔지 않았으니 손해가 아니라'라는 심리적 방어 기제를 작동시킵니다. 포지션을 붙잡고 있는 것은 손실을 확정 짓는 고통스러운 순간을 회피하려는 무의식적인 행동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손실 포지션을 오래 붙잡게 되는 것은 사람이 이득보다 손실을 훨씬 크게 느끼는 손실 회피 심리와 이미 투자한 돈이 아깝다고 생각하는 본전 생각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손실이 난것을 손절하지 않는 이유는 이러한 손실 후에 확실한 수익원을 장담할수 없기때문입니다. 물린사람들 중에 다음에 확실한 수익원이나 수익 코인을 알면물려잇지 않을것입니드. 이러한것은 미래를 모르니 최소한의 손실로 유지하는것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