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신용점수는 2개로 나뉘어져 있나요??
신용점수는 kcb nice로 나뉘어져 있는데, 2개의 차이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신용관리를 하면 좋은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개인의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기관이 2곳이기 때문입니다
각각 공공기관이 아니고 사기업이기 때문에 서로 평가하는 기준이 상이합니다.
따라서 2가지 점수가 나오는 것이고 대부분 금융기관은 두 점수를 모두 참고하기 때문에
어떤 하나만 관리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신용평가사가 NICE, KCB이기 때문이고 그만큼 신용도를 가진 평가사가 나온다면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왜 신용점수는 2개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KCB와 NICE는 각기 다른 신용평가사이기에
각자 다른 기준으로 신용을 평가하기에
점수에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두 평가기관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이 다른데요.
나이스는 금융기관과 카드사 등에서 직접 수집을 하는 방식이고,
kcb는 금융기관 외 통신사, 온라인 결제 정보 등도 넓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에 나이스는 전통적이고 안정적인 반면, kcb는 보다 다양한 비금융 정보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각 제휴 은행마다 둘 중 다른 점수를 보고 있기 때문에 둘 다 중요하게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용점수가 높으면 일단 대출, 신용카드 발급 시에 유리하기 때문에 높을수록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유가 매우 간단합니다 국내에서 신용점수를 관리하는 기관인 민간기관이며 이 민간기관이 단 두곳만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국가나 기업들의 신용평가를 하는곳도 3군데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S&P 피치 무디스에서만 신용등급을 매기는것과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국내에서는 나이스와 KCP이 두기관에서만 개인 신용정보를 관리하고 각기 다른 평가 모델을 사용하고 신용점수를 매기기 때문에 두군데에서만 관리하는것입니다.
두 기관은 데이터 수집기준이 서로 다른체계이며 가중점수를 주는 평가방식도 서로 상이하며 이를 통해서 어느정도 객관성과 주관적인 평가부분도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르다고 보시면됩니다. 신용관리를 잘한다는 것은 결국 대출을 이용하거나 신용을 이용하는 신용카드 발급할때 필요한것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지 않는다면 신용점수를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점수는 각 신용평가사가 평가하고
평가 기준이 다르기에 2개로 나뉘느 것이며
신용관리를 하면 대출한도나 대출 이율 등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