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민생지원금 이외에, 상생페이백은 어떤 의도에서 나온건가요?

민생 지원금과 함께 차주부터 상생 페이백 신청이 진행된다고 하는데, 어떠한 목적을 두고 국가에서 재정을 확보하고 지급하는건가요? 화폐 유동성을 늘리기 위한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상생페이백은 9~11월 동안 카드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늘어난 소비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정책입니다.

    이 제도는 소비 진작을 통한 내수 활성화와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생페이백은 민생지원을 넘어 소비 촉진 목적입니다. 국가 재정지출이 직접 시장으로 환류되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유동성을 늘려 단기 경기 부양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상생페이백 제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상생페이백 역시 작년에 비해서 카드를 더 사용하게 되면

    거기에서 페이백을 해주는 것에서 정부의 의도가 나옵니다.

    바로, 더 많이 돈을 써게 해서 내수 시장이

    돌게 만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생페이백도 결국 내수 경기 부양을 위해서 돈을 더 쓰게 하려는 정책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화폐 유동성을 더 늘려서 소비를 늘려보자는 의도죠!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결국은 민생지원금과 의도는 똑같습니다. 즉 소비 진작을 통한 경기 부양이 가장 중요한 목표이며 경기 둔화 국면에서 가계가 지갑을 열도록 유도하여 내수 경기를 활성화하려는 것입니다.

    또한 소상공인과 골목상권 지원도 핵심 목적입니다. 대형마트나 대기업 채널이 아닌 동네 상권과 중소가맹점으로 소비를 유도하여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의 매출 회복을 도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물가 충격 최소화를 위해 품목과 업종을 제한하고 기간과 한도를 두어 전반적인 물가 자극을 완화시킬수도 있어서 조건부로 설정한것으로 보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민생지원금 이외의 상생페이백의 경우에는 일단 국민들이 보다 더 큰 소비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러한 예산을 끌어 쓰려면 당해년도에서 계획된 예산 내에서 써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고, 이를 추경이라고 하여, 예산을 끌어쓰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것은 결국 정치인이 자신의 자산을 기부하지 않는 이상 국가의 세금으로 진행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생페이백은 기준이상의 소비가 이뤄졌을 경우 일정 비율로 돌려주는 것으로 유동성을 늘리는 것 보다 소비를 확대하게 만들기위함입니다.

    소비진작 효과를 통해 내수 경기를 부양하고 자금 순환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생페이백이란 게 대충 현금을 뿌리는 건 아니고 소비 늘리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방식입니다. 2025년 9월~11월 동안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보다 많이 쓰면 증가분의 20%, 최대 월 10만 원, 총 3개월 간 30만 원 한도라고 합니다. 연말까지 전통시장동네마트식당 같은 곳에서 쓰여야 인정되고 온라인대형마트 등은 제외된다고 하니까 씀씀이 좀 다르게 해야 실적으로 잡힐 수 있다고 합니다. 정부 입장에서는 단순히 재정 퍼붓기보다 소비를 늘려서 자영업자 살리고 지역경제 돌리려는 의도인 걸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생페이백은 민생회복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25년 9~11월 카드 소비 증가분(지난해 월평균 대비)의 20%를 최대 월 10만 원(총 30만 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정책입니다.

    국가 목적은 내수 진작과 경기 회복, 취약 상권(전통시장·소상공인) 매출 증대입니다. 민생지원금(전 국민 소비쿠폰 등)과 함께 시행되어 소비 촉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며, 1조 3,700억 원 예산으로 재정 투입합니다.

    화폐 유동성 증가도 간접 효과지만, 지워사업의 핵심은 소상공인 상생과 민생 안정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