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원재료 수입국을 다변화할 때 전략적으로 고려할 요소는 무엇인가요?
주요 원재료를 특정 국가에 의존하고 있어 리스크가 큽니다. 무역 실무에서 공급망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입국 다변화를 추진할 때 고려해야 할 경제적 물류적 요소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부존자원이 부족한 등의 영향으로 주요 원재료를 특정국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중국 등에 대한 의존도가 큰 편입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몇년 전부터 공급망 다각화에 대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자체 기술개발 등을 통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 위주의 공급망 전략이 굉장히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수입의 다변화를 위하여는 아래의 사항들을 고려하여됩니다.
비용 구조: 새로운 수입국의 원재료 단가, 관세율, 환율 변동성을 분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다변화하면 인건비는 낮아질 수 있지만, FTA 미적용 시 관세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총 landed cost(운송비+세금 포함)를 비교해 경제성을 따져야 합니다.
공급 안정성: 대체 국가의 생산 능력과 정치적 안정성을 점검하세요. 인도네시아 같은 신흥국은 가격 경쟁력이 있지만, 인프라 부족으로 공급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 장기 계약 가능 여부와 가격 변동 조정 조항을 확보하면 비용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기존 의존국 대비 최소 20~30% 물량을 다변화하며 단계적 전환을 추천합니다.
운송 경로와 시간: 새로운 수입국의 항만(예: 하이퐁항 vs. 상하이항) 접근성과 운송 소요 시간(Lead Time)을 비교해야 합니다. 해상 운송이 늘면 리드 타임이 10~15일 늘어날 수 있으니 재고 관리 계획이 필요합니다.
물류 인프라: 대체 국가의 항만 혼잡도, 내륙 운송(철도, 트럭) 효율성을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태국은 물류 인프라가 좋아 소규모 다변화에 적합합니다.
복합운송 활용: 단일 운송 대신 해상+철도(예: 중국-유럽 철도) 조합으로 리스크를 분산하고, 3PL 업체와 협력해 유연한 경로를 확보하면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공급망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입국을 다변화할 때는 원가 경쟁력, 물류 비용, 운송 기간,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대체 공급국이 기존 대비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 분석해야 하며, 물류 비용과 운송 기간이 증가하면 전체 공급망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해당 국가의 통상 정책과 관세 혜택 여부, 현지 규제 등을 검토해 예상치 못한 무역 장벽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하려면 여러 국가와 장기 계약을 체결하고, 긴급 상황 발생 시 대체 수입처를 신속히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