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지방의 집값차이 알려주세요.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예:인천,성남,수원)과 지방대도시(예:부산,대전)의 집값차이는 전세기준으로 평균적으로 얼마나 나나요?
집은 동일하게 원룸이나 투룸정도 입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의 부동산 시장은 지역 간 격차가 뚜렷합니다.
특히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예 : 인천 , 성남 , 수원 등) 과 지방 대도시 (예 : 부산 , 대전 , 대구 등) 사이에도 전세가격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를 원룸이나 투룸 등 소형 주택 기준으로 살펴보면 , 평균적으로 수도권이 지방 대도시보다 1억 원에서 많게는 2억 원 이상 비싼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다음은 2025년 기준으로 인천 , 성남 , 수원 , 부산 , 대전의 대표적인 원룸 및 투룸 전세 실거래 사례를 비교한 내용입니다.
☆ 수도권 지역(1) 인천 송도동 ' 송도 아메리칸타운 아이파크 '
ㆍ 유형 : 투룸형 아파트
ㆍ 전세가 : 2억 7천3백만 원 (91 m° , 2025년 4월 25일 거래)
ㆍ 특징 : 신축 , 고층 , 송도국제도시 내 위치
(2) 성남시 중원구 ' 성남센트럴푸르지오시티 '
ㆍ 유형 : 원룸형 오피스텔
ㆍ 전세가 : 1억 6,500 만 원 (2025년 5월 3일 거래)
ㆍ 특징 : 역세권 , 풀옵션 , 9년차 준신축
(3) 수원시 권선구 ' 수원아이파크시티 12단지 '
ㆍ 유형 : 투룸형 아파트
ㆍ 전세가 : 3억 2,000 만 원 (84m° , 2025년 5월 12일 거래)
ㆍ 특징 : 신축 , 대단지 , 수원시청 인근
☆ 지방 대도시
(1) 부산 해운대구 ' 좌동 순환로 15번길 ' 소재 오피스텔
ㆍ 유형 : 투룸형 오피스텔
ㆍ 전세가 : 1억 1,000 만 원 (2025년 4월 거래)
ㆍ 특징 : 해운대 중심지 , 교통 편의성 우수
(2) 대전 서구 탄방동 ' 탄방동 산호 '
ㆍ 유형 : 투룸형 아파트
ㆍ 전세가 : 1억 7,000 만 원 (40m° , 2025년 거래)
ㆍ 특징 : 탄방역 초역세권 , 5층 , 실거주 선호 지역
# 위 실거래 사례 자료 출처 :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 , 네이버 직방 , KB부동산 , 다음Realty
이러한 차이는 직장 수요 , 교통 접근성 , 개발 기대감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수도권은 서울과의 연계성과 인구 밀도가 높아 주거 수요가 꾸준히 존재하며 , 이에 따라 소형 주택의 전세 수요도 강세를 보입니다.
반면 지방 대도시는 서울 대비 고용 기반이 약하고 인구 유출이 이어지며 , 전세 수요 또한 상대적으로 제한적입니다.
결과적으로 , 동일한 조건의 주택이라 하더라도 , 수도권의 원룸ㆍ투룸 전세가는 지방 대도시 대비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 이는 지역 간 경제력과 주거 수요의 차이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 지역: 인천, 성남, 수원 등은 서울과의 접근성, 교통 편의성, 생활 인프라 등으로 인해 전세 시세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특히 원룸의 경우 2억 원 이상이 일반적이며, 투룸은 3억 원 이상이 많습니다
지방 대도시: 부산, 대전 등은 수도권에 비해 전세 시세가 낮습니다. 원룸은 1억 5천만 원에서 2억 원 사이이며, 투룸은 2억 원에서 3억 원 사이입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의 원룸 또는 투룸을 찾을 경우, 수도권 지역이 지방 대도시보다 전세 보증금이 높고 이는 주거 환경, 교통, 상업 중심지와의 거리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제일중요한 부분은 그지역을 선택해서 사이트 들어가서 시세확인을 하시는게 제일 정확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원룸 및 투룸 가격 차이는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지역마다 세대 내 구조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정확한 답변 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