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기타 영양상담

ASDXC
ASDXC

우리가 밥이나 국을 먹을때 따뜻하면 맛이 있는데 식으면 왜 맛이 없는가요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주식이 쌀로 만든 밥인데요 그런데 밥같은

경우에도 식으면 맛이 떨어지는데 국도 마찬가지인것 같아요

왜 이렇게 음식이 식으면 맛이 떨어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따뜻할 때는 밥과 국의 성분들의 구조(양의 변화x)가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맛과 향에 영향을 미쳐서 식욕 억제, 식감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령, 지방은 상온이나 저온에서 고체로 존재하는데,

    뜨거운 상태에서는 기름으로 존재합니다. 이미 기름이 둥둥 고체상태로 떠 있으면 시각적으로 식욕이 뚝뚝 떨어집니다.

    두번째로,

    혀의 역치 때문입니다.

    혀가 느끼는 맛의 감각에 대해서는 온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식품의 온도가 높을 수록 단맛을 느끼는 강도가 강해지는 반면

    쓴맛와 짠맛은 떨어집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서 식은 것에 비해서 뜨거운 것이 더 맛있다고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개인의 기호에 따라 다르지만

    음식의 온도가 낮아질 경우에는 음식의 맛이 떨어지는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온도에 따라서 맛의 강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로 단맛은 차가울때 덜하며 짠맛은 뜨거울때 더하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우향 영양사입니다.

    음식이 식으면 맛이 없는 이유는 향이 줄어듦, 식감이변함, 단맛.감칠맛 감소가 되기 때문이며 따뜻한 온도는 맛, 향, 식감을 살려주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