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문5세 아이 강박증 문의드립니다..

만4세(50개월) 남아입니다. 유치원 다니고 있습니다.
혹시 아래 행동들이 강박증상이 맞는지 맞다면 어떤식으로 교육해야 될지 조언 구합니다.


1. 세수나 양치를 하다가 옷에 조금이라도 물이 묻으면 더러운게 묻은 것처럼 싫어하고 옷을 갈아입어야 된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결벽은 아닌거 같은게 음료같은게 묻은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신경을 안씁니다.
손 씼는 것도 우리가 몇번 말해야 할 정도로 적극적이지 않습니다.


2. 자기가 배열해둔 물건을 치우는걸 싫어합니다.
①침대에 배게나 쿠션, 인형같은게 놓는 위치가 있습니다. 그걸 자기 전에 항상 정위치에 놓고 잠에 듭니다.(이건 흐트러저있다고 해서 화를내지는 않고 자기전에만 그냥 자기가 정위치에 놓습니다.)
②쇼파 전체를 다 덮을 정도로 특정 책을 펼쳐놓습니다.(자기만의 방식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걸 치우지 못하게 합니다. 등원이나 잠든사이 허락없이 치우면 화를내며 서럽게 웁니다.
미리 말하고 청소해야 되니까 치운다고 설득하면 수긍합니다. 그리고 지금은 쇼파의 1/3정도로 펼처놓고 있습니다.


3. 같은 말을 반복합니다.

①문장의 한 부분을 계속 반복합니다.
"근데~~근데~~~근데~~~근데~~~~엄마가 과자사준다고 했지?"
"선생님. 어제 동물원 갔다가~~~ 어제 동물원 갔다가~~~동물원 갔다가~~~~ 할머니집 가서 밥먹었어요."

모든 말을 저렇게 하는게 아니라 가끔 저렇게 하기 때문에 그냥 뒷말이 안떠올라서 그러나보다했는데 요즘 ②행동이 생기면서 이것도 뭔가 강박증세가 아닌가 의심이듭니다.

② 같은 질문을 반복합니다.

"엄마, 아까 양치했어?" "어 했어"
"엄마, 양치했어?" "어 했다니까"
"엄마, 양치했어?" "어 했어"

이런식으로 3~4번 반복해서 가끔 물을때가 있습니다.


4. 전에 했던 루틴(순서)에 집착합니다.
3. ②와 함께 최근 생긴 행동인데 원래 욕실에서 샤워를 하고 안에서 로션까지 다 바르고 나오는데 하루는 애가 졸아서 안은 채로 얼굴에만 로션을 바르고 안고 나오는길에
벽에 손이 부딛혀 깨면서 울었습니다. 진정시키면서 안방에서 몸에 로션을 발랐습니다. 문제는 그다음 부터인데 샤워를 하러 들어갈때부터 계속
"아빠 저번에 어떻게 씼었지? 저번처럼 똑같이 씼어~"라고 하며 [욕실에선 얼굴만 로션 → 아빠가 안고 나감 → 밖에서 몸에 로션] 이 루틴대로 계속 해야된다고 합니다.
욕실에서 로션 바르고 걸어나가는게 아니라 그때처럼 안고 나가는거까지 똑같이 집착합니다.

최근에는 "손 씼었고 옷입었고~" 이렇게 뭔가 정해진 순서를 확인하는 것같이 혼잣말을 했다고 합니다.

1, 2는 예전부터 그랬고 최근에는 조금 약해진 상태고 3,4 행동이 최근에 생긴 행동들입니다.

어떻게 생각하는 게 좋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서 보이는 일부 행동이 강박 증상과 유사한 면이 있으나, 단정적인 판단은 어렵습니다.

    강박 증상은 원하지 않는 생각이나 장면이 떠올라 불안해지고, 그 불안을 없애기 위해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일시적으로 불안을 감소시키지만, 이후 다시 불안해져 반복적인 행동을 하게 됩니다. 12

    아이의 행동이 강박 증상과 관련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전문가는 아이의 행동과 발달 수준을 평가하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 방법을 제시해줄 수 있습니다.

    만약 아이의 행동이 강박 증상과 관련 있다고 판단된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과도한 간섭이나 통제를 하지 않도록 양육 방식을 개선합니다.
    놀이를 통해 아이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전문가와 상담을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강박증이란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정한 생각이나 충동 등이 침투적으로 반복해서 떠오르는 강박 사고와 그러한 강박 사고의 해소를 위해서 심리 내적인 행위로의 반복적 행동을 하게 되는 강박행동을 말합니다.

    아이 강박증의 대처방안으로는

    첫째, 우리 아이가 어떤 기질을 갖고 있는지를 파악해보고 아이의 기질과 성격적 특성에 대한 올바른 파악을 통해서 아이의 불안을 다뤄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둘째, 아직 자아가 온전하게 발달하기 이전단계인 아이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포함한 환경적 요소들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셋째, 아이의 행동에 대한 부모님의 반응이 일관되지 않고 계속해서 바뀌고 변덕스러울 경우 아이의 불안감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안정성과 관련된 부분을 점검해 보도록 하세요.

    넷째, 부모의 부정적인 뉘앙스가 담긴 언급이나 관심은 오히려 아이의 불안감을 높이게 됩니다. 부모의 의연한 반응을 통해 아이의 불안감을 낮춰 줄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강박증이 너무 심하다면 센터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의 행동이 강박증의 징후일 수 있지만, 유아기에 나타나는 반복적인 행동일 수도 있습니다. 정해진 루틴과 반복적인 행동은 안정감을 찾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유치원이나 일상 생활에서 아이의 불안요소가 없는지 면밀하게 살펴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행동이 아이가 안정감을 찾기 위한 불안 요소가 있는것이 아니라면, 전문가 상담(소아정신과나 상담심리사)을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아이를 많이 안아주시고 토닥거리며 아이의 일상을 들어보는 깊은 시간을 가져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물론 7세 아이라서 그 아이의 언어로 말하고 부모가 이해 못할 상황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안아주십시요. 그리고 별일 아닐겁니다. 심리상담사를 만나보시길 추천드려봅니다. 아이가 어깨펴고 예쁘고 건강하게 자라기를 응원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조금 더 지켜 봐야 하겠지만 일반 적이지는 않습니다

    세수나 양치 같은 경우 양치물이 입 주위에 묻으면 안된다고

    교육을 받았거나 이야기를 들었을 수 있습니다

    말을 더듬는 현상이 없다면 같은 단어를 반복하는 것은 아이가

    강조하고 싶다는 생각이 크다고 봅니다

    강박은 설득이 된다고 수긍하지 않습니다

    설득이 된다니 아직은 지켜봐도 괜찮을 것 같아요

    마음이 불안 하시면 전문적인 심리 상담을 빨리 받아 보시는 것이

    확실하고 좋을 것 같습니다

    심리 상담은 빨리 받을수록 아이에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러한 아이 행동방식의 원인은 편안함과 편리함 입니다. 정해진 루틴대로 행동하게 되면 변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 준비되어 있는 내용에 따라 반응을 하면서 반복하게 되면서 편리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집착 행동이나 애착 행동을 바꾸려고 한다거나, 제거하려고 시도하는게 아닌 훨씬 재밌는 다른 놀이를 확장함으로써 아이들은 집착 행동을 완화시키게 됩니다.

    그리고 아이가 나이를 먹어가면서 점차적으로 강박적인 행동은 사라지게 됩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시고 일단은 아이를 존중해주시고 과한것은 하나씩 타협을 하면서 그 정도를 줄여나가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