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아프로아프로
아프로아프로

정기 적금을 개설하고 실수로 하루나 이틀 늦게 입금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정기 적금을 새걸하고 나서

제 날짜에 약정된 금액을 입금하지 못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예를 들어서 하루나 이틀 정도 밀렸다고 하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정기 적금을 늦게 입금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합니다:

    1. 이자 감소: 정기 입금일보다 늦게 입금하게 되면, 늦어진 만큼의 날짜에 해당하는 추가금액분의 이자를 못받게 됩니다. 그러나 이 금액은 매우 적기 때문에 만기시 원리금을 받았을 때 크게 체감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만기일 변경: 늦게 입금한 날짜 만큼 만기일이 뒤로 늦쳐집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만기일이 1월 10일이었는데 적금을 하루 늦게 입금한 경우, 만기일은 1월 11일이 됩니다.

    3. 신용등급에 영향 없음: 적금을 늦게 입금하더라도 신용등급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기 적금을 하루나 이틀 늦게 입금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그러나 가능하다면 정해진 날짜에 입금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는 적금의 이자를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늦게 입금됐다고 해서 적금의 효력이 없어지거나 해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적금불입액 입금일 기준으로 적금 이자율이 계산되는데 늦어진 만큼 일수에 따라 이자가 적어질 뿐입니다.

  • 정기적금을 제 날짜에 약정된 금액을 입금하지 못하는 연체로 처리하고, 그에 따른 불이익이 있습니다.

    연체 이자가 부과된다든가, 만기 연장, 또는 중도해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금을 가입할 때는 자금상황을 고려하여 저축금액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 위와 같은 경우에 정기적금을 개설하고 입금이 늦는다면 말 그대로 해당하는 기간에는 이자를 수령할 수 없을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적금을 밀리는 경우는 흔하게 발생하는 상황인데요. 그럴경우 다음달에 납부해야할 적금불입액을 하루나 이틀 먼저 납부하시면 적금계약 만료일에 정상적으로 원금과 이자를 받게 됩니다. 또는, 밀린날만큼 실제 계약종료일이 늦춰져서 그 기간만큼만 지연되어 받으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기 적금의 경우, 정해진 날짜에 약정된 금액을 입금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하루나 이틀 정도 입금이 늦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처는 금융기관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루나 이틀 정도 입금이 늦어지면, 금융기관은 해당 기간에 대해 연체 이자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연체 이자는 약정 금리보다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입금이 지연될 경우, 가능한 빨리 해당 금액을 입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금융기관은 일정 기간 내에 입금하면 큰 문제가 없도록 유연하게 대응합니다.

    정기 적금의 약정된 날짜에 입금하지 못할 경우, 연체 이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입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나 이틀 정도의 지연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연체가 반복되면 금융기관과의 신용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자동이체 설정을 통해 입금 날짜를 놓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큰 문제 아니니 신경써실거 없습니다.

    불입해야 금액에 대해서 이자가 하루 이틀 덜 붙을 뿐입니다.

    그래서 통상, 적금은 자동이체를 걸어 놓지요.

  • 안녕하세요

    • 만약 해당 적금 상품이 하루라도 늦으면 약정이자를 지급하지 않은 다는 조건이 없다면

      하루이틀 늦는다고 큰 차이는 없습니다

    • 단지 하루 이틀 동안의 이자가 덜 계산되어 지급이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정기 적금의 경우 약정된 날짜에 정해진 금액을 입금하지 못할 경우, 각 은행마다 상이한 규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입금일을 기준으로 몇 일 내에 입금을 완료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루나 이틀 정도의 지연은 일반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지연이 길어질수록 연체료가 부과될 수 있고, 적금 계약이 해지될 수도 있습니다

  • 보통 자동이체로 해당일에 입금하는데 수동으로 다른날짜에 입금하셔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해당월에 입금을 하시면 되시니 걱정마세요

  • 적금 불입을 하루 이틀 늦게 입금해도 큰 불이익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자주 반복 되면 은행 측에서 불이익을 줄 수 있다는 공지를 줄 수는 있습니만 1~2일 지연 입금으로 불이익을 주는 금융사는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늦은 만큼 이자를 적게 받게 될 뿐, 그 외의 불이익은 없습니다.

    만약 이러한 일을 막고 싶으시다면 자동이체를 걸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간혹 자동이체 시 우대이율을 적용시켜주는 상품이 있기도 합니다.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정기 적금 개성 이후에 정상납입일보다 늦은날로 납입 혹은 자동이체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만기 이연이 발생합니다.

    해당 날짜만큼 만기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정기 적금을 하루나 이틀 늦게 입금하면 약간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이자를 받을 때 늦게 입금한 기간에 대한 이자가 적게 계산될 수 있습니다.

    또한일부 은행은 규정에 따라 페널티를 부과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대부분의 경우 하루나 이틀 정도의 지연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정확한 규정은 해당 은행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질문해주신 정기 적금을 개설하고 실수로 하루 혹은 이틀 늦게 입금한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하루나 이틀 정도 늦게 입금하시게 되면

    그 늦게 입금하신 만큼 만기 날짜가 뒤로 밀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