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 낮게 떠 있는 구름은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차타고 지나가는데 구름은 원래 저 위에있는데 어떤 한놈만 하늘에 낮게 떠 있는 구름은 왜 그런건가요?? 지나가는데 눈앞에있는 느낌이드라구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 중에서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따라 공기의 밀도와 안정성이 변화합니다. 특정 기상 조건에서는 구름이 낮은 곳에 머무르게 됩니다. 지형 요인도 구름의 높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산악 지형이나 도시의 건물들과 같은 장애물이 구름의 상승을 막아 구름이 낮게 떠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 낮게 떠 있는 구름은 '적운'이라고 합니다. 적운은 수증기가 응결되어 생긴 구름으로, 지표면에서 약 2km 이내에 형성됩니다. 적운은 뭉게뭉게하고, 하얀색이며, 짧은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적운은 보통 비나 눈을 동반합니다.
적운이 낮게 떠 있는 이유는 수증기가 응결될 수 있는 온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수증기가 응결될 수 있는 온도는 고도에 따라 다릅니다. 고도가 높을수록 수증기가 응결될 수 있는 온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적운은 지표면에서 가까운 곳에서 형성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가끔 한 뭉치의 구름만 낮게 떠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 이는 대기 중 수증기량이 많은 여름에 주로 볼 수 있으며, 급격히 상승한 대기의 일부가 구름이 되기 때문에 따로 떨어져 있는 것입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