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신용자 저신용자를 나누는 신용점수의 기준이 뭔가요?
1금융권에서 대출이 어려우신 분들은 2금융에서 대출을 받습니다. 그래서 금융기관들은 중신용자 대출을 출시하는데요. 그렇다면 여기서 중신용자 저신용자를 나누는 신용점수 기준이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중저신용자의 대출을 분류하게 되는 신용점수의 기준은 지난달을 기점으로 865점이 중저신용자의 기준이라고 하며 저신용자는 501점~600점대의 분들을 말하는 것이에요
질문하신 중신용자, 저신용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신용점수로 665점 이상에서 839점 이하를 중신용자로 구분하고
마찬가지로 신용점수로 664점 이하인 경우 저신용자로 구분하게 됩니다.
중신용자와 저신용자를 나누는 신용점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신용자 기준: 저신용자는 제 1금융권 이용 가능 여부 혹은 신용카드 발급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발급 가능 신용점수는 개인 신용평점 상위 93% 또는 장기 연체가능성 0.65 이하입니다. 2021년 말 기준으로 보면, NICE 기준 상위 93% 이상은 최소 570점 이상이고, KCB 기준 상위 93% 이상은 최소 541점 이상입니다.
2. 중신용자 기준: 중신용자 대출 신용점수 기준은 관련 법에 따라 개인신용평점 하위 50%에 해당하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신용평점 하위 50%를 신용점수로 환산하면, KCB 기준은 820점에서 2022년 4월 이후로 850점이 되었고, NICE 기준은 859점에서 2022년 4월 이후로 874점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신용점수 기준은 금융기관마다 다르며,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금융기관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신용점수는 개인들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점수입니다. 일반적으로 1~1,000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금융거래에서 유리하나 낮은 점수는 금융거래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저신용자, 중신용자 구분은 신용평가 기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중신용자(650~850점)는 6등급 이하, 저 신용자(650점 미만)는 7등급 이하로 분류됩니다.
고신용자는 신용등급 1등급 신용점수 900점(1000점 만점)이 넘는 사람들입니다. 신용등급 6 이하, 나이스 기준 점수 660 이하인 분들은 저신용자로 분류됩니다. 고신용자와 저신용자 사이인 신용등급 2~5등급, 신용점수 660~900점인 분들은 중신용자로 분류됩니다.
중신용자와 저신용자를 나누는 기준은 각 신용평가기관이나 금융기관마다 상이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신용점수의 범위에 따라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300에서 850점 사이의 신용점수를 가지고 있을 때, 300에서 579점은 저신용자, 580에서 669점은 중신용자, 670에서 739점은 평균신용자, 740에서 799점은 우량신용자, 800에서 850점은 최상위 신용자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중저신용자는 KCB 신용평점 기준으로는 700점 이하, NICE신용평가 평점 기준으로는 749점 이하일 때 저신용자애 해당합니다.
KCB 기준으로는 860점, 나이스 기준으론 880점을 초과하면 고신용자로 분류됩니다.
보통 600점이하를 저신용자 700점이하는 중신용자로 보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신용점수 601~700점 구간에 해당하는 고객 대상으로 대출을 취급하지 않은 저축은행이 5군데가 있었다고 합니다]
요즘은 다들 어려워서 700점 이하도 은행입장에서 볼 때 좀 꺼려지나보네요. 못돌려받으면 골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