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아주정확한주먹밥
아주정확한주먹밥24.05.22

주휴수당 미지급 노동청 신고를 퇴사 후에 해도 가능한가요?

편의점 알바를 하는데 처음 근로계약서를 쓸때 주휴수당을 받지않겠다는 계약서를 쓰게 해서 썼는데요. 이건 법위반이라 효력이 없다는걸 알고 노동청에 신고를 할 생각인데 제가 이번주까지만 일을 해서요.

퇴사 후에 노동청에 신고를 해도 지금까지 받지 못한 주휴수당들을 받을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임금채권 소멸시효 3년이므로, 퇴직하시고 나서 신고하셔도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기로 당사자간에 합의했더라도 이는 강행규정 위반으로 무효입니다. 따라서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고 1주간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떄는 주휴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퇴사 후에라도 3년 이내에 주휴수당 미지급 등을 이유로 사업장 소재지 관할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미지급한 임금이 있는 경우, 관할 노동청이 진정을 제기함으로써 받을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은 임금채권으로 소멸시효가 3년입니다

    . 발생시점부터 3년 내라면 퇴사하더라도 노동청 진정 및 지급 청구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근로계약기간 중 미지급 받은 임금에 대해서는 퇴사 후에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이기에 소멸시효가 도과하기 전에 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참고 바랍니다.


  •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 입니다. 따라서 퇴사 후에도 체불된 주휴수당에 대해 청구할 수 있고 지급하지 아니하면 노동청에 임금체불로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 퇴사 후에 노동청에 신고를 해도 지금까지 받지 못한 주휴수당들을 받을 수 있나요?

    • 네.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입니다. 3년 지나지 않은 것은 모두 청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