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률니 지금더 안좋아졌나요?
원래부터 청년실업률이 안좋은걸로 아는데 요즘에는 더더욱 신입 뽑는게 힘든거 같아서요 이런경우 언제쯤 실업률이 나아질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표면상의 청년실업율은 예나 지금이나 비슷합니다
그러나 경제활동인구까지 감안한 데이터를 본다면 암담한 수준인데
현재 집에서 놀면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청년의 인구가 60만으로 추산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까지 통계로 잡는다면 현재가 최악인 것이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실업률은 2025년 3월을 최고점을 찍은 뒤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물론 최근 발표된 청년실업률은 6.1%로 전년보다 0.1%포인트 낮아졌지만 체감실업률에 해당하는 청년 확장실업률은 16.3%로 0.8%포인트 상승했다고 합니다.
점차 개선되고 있기에 앞으로는 더욱 나아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 실업률은 여전히 높고 개선이 더딘 상황입니다. 특히 경기 불황+기업 채용 축소로 인해 신입 진입장벽이 높아졌습니다. 다만 일부 IT, 전문직 인력 수요가 꾸준해 업종별 편차도 큰 상황입니다.
전체 실업률은 2025년 6월 기준 약 2.8%로, 전년 동월 대비 0.1%p 하락했습니다.OECD 기준으로도 2.7% 수준을 유지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청년 실업률의 경우 2025년 3월, 15~29세 청년 실업률은 7.5%로, 202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상황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한 경기 요인이 아니라, 기업의 채용 감소, 고용의 질 문제, 산업 구조 변화 등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고 합니다. 인구·산업 구조 변화라는 장기 과제도 병행되어야, 청년 고용이 질적으로 회복되는 시점이 올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업률자체는 2.8프로대로 매우 낮게나옵니다 즉 국내 실업률자체로는 현재 상황을 왜곡하고 있고 이에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수는 60만명가까이 추산되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아예 구직을 포기한 인구도 41만명이며 청년실업률은 6프로대가 넘어서 전체실업률대비 매우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청년 실업률이 지금 더 안좋아졌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2025년도 6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청년 실업률은 6.1퍼센트 수준으로
이는 전체 평균 실업률인 2.8퍼센트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그렇기에 더 나쁘자도 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