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APPLEB
APPLEB

가상자산 사기수법도 있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사기를 치나요?

우리나라 에서도 가상자산 거래가 활발하게 거래가 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가상자산 사기도 많다고 하는데요 주로 어떤 사기수법들이 있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자산에 대한 사기수법의 경우 가장 보편적인것이 가상자산이 상장이 되기전에 투자를 하면 그만큼 수익을 볼 수 있다. 지분에 투자를 하라 는 것이 가장 클 것이고, 그것이 아니라면 링크를 클릭하게 하여서 가지고 있는 가산자산에 대한 것을 해킹하는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보편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법보다 앞선 범죄지능을 통해 관련 사기수법이 알려지기 전에 한탕을 해보려고 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쉽게 찾기 어려운 점이 그 내용이 될 수 이씁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유명하고 보편적인 사기가 투자 보장형 사기 입니다.

    특히 원금 보장 / 고수익 보장등의 자극적인 문구와 구미를 당기게 하는 문구로 투자자를 모집합니다.

    그러나 이는 신규투자자의 돈을 기존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폰지사기의 구조입니다.

    결국에 신규투자자가 끊기면 투자금 회수가 불가능하게 되지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표적 수법으로 러그풀, 고수익 보장형 디파이, 피싱 사이트, 가짜 에어드롭 등이 있습니다. 거래소나 지갑을 사칭한 사기도 많아 시드키, 2FA를 요구하면 무조건 의심해야 합니다. 원금보장, 고수익 홍보는 사실상 전형적 사기 신호로 봐야 안전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손쉬운 방법이 고수익 보장형 투자 사기로 일종의 폰지사기입니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가장 흔한 사기 유형 중 하나입니다. 사기범들은 "월 10-20% 수익 보장"으로 유혹하고 결국은 초기에는 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약속된 수익을 지급하여 신뢰를 구축하지만, 신규 자금 유입이 줄어들면 전체 시스템이 붕괴하면서 투자자들의 자금을 가로채게 되는 다단계이자 폰지사기구조가 가장 흔합니다.

    또한 텔레그램 오픈카톡방을 통한 리딩사기가 가장 많으며 그리고 러그풀사기도 굉장히 많은데 그럴듯한 백서(화이트페이퍼)와 팀 구성, 웹사이트를 내세워 새로운 가상자산이나 NFT 프로젝트를 홍보하며 투자금을 모집하고 이후에 조용히 사라져 버리는 투자금 가족 튀어버리는 러그풀 프로젝트가 굉장히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상적인 거래소나 지갑 서비스를 모방한 가짜 웹사이트나 앱을 만들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개인키, 시드 문구등을 탈취한후 해당 지갑을 해킹해버리는 사건도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자산 쪽은 진짜 별별 수법이 다 나온다고 합니다. 제일 흔한 건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투자유치인데 실제로는 다단계처럼 신규 투자자 돈으로 기존 투자자한테 이자 돌려주는 방식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 거래소를 사칭해서 로그인 유도하고 개인정보를 빼가는 피싱도 많습니다. 요즘은 유명인 이름을 내세워 광고를 뿌리거나 SNS에서 급등주 정보를 흘리는 척 하면서 유도하는 경우도 보입니다. 심지어 가짜 코인 만들어서 상장할 거라 속이고 투자금만 챙기는 사례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눈길 끄는 달콤한 제안일수록 조심해야 한다고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화폐 사기 방법(유형)은 다음의 것들이 있는데요.

    1.다단계 사기: 다단계 방식으로 투자자를 모집하여 수익을 보장하는 사기입니다. 신규 투자자를 유치하면 일정한 수당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투자자들은 자신이 투자한 금액이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빠져들게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다단계 사기 조직은 투자금을 횡령하거나,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2.스캠: 스캠은 가짜 가상화폐를 만들어 투자자를 속이는 사기입니다. 스캠을 만드는 사람들은 실제 가상화폐와 유사한 이름과 로고를 사용하여 투자자들을 현혹합니다. 

    3.피싱: 피싱은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를 통해 투자자를 속여 가상화폐 지갑 주소를 탈취하는 사기입니다. 피싱 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는 유명 가상화폐 거래소의 이름을 도용하여 투자자들에게 비밀번호나 개인정보를 요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명 거래소와 유사한 이름, 도메인 주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가짜 거래소를 만들어 투자자를 유인합니다. 투자자가 돈을 입금하면 출금을 막거나, 출금을 위해 추가 입금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돈을 가로챕니다.

    유명 가상자산의 이름과 비슷한 가짜 코인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속입니다. 투자자는 진짜 코인인 줄 알고 매수하지만, 실제로는 아무런 가치도 없는 코인에 투자하게 됩니다.

    신규 투자자들의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지급하는 것처럼 속이는 방식입니다. 신규 투자자의 유입이 둔화되면 결국 시스템이 무너지고,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입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가상자산 사기 수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어르신들 대상으로 만연한 사기인데

    상장할 것이라며 미리 투자를 유도하고

    아무런 가치가 없는 쓰레기 코인을 만들어서

    이를 나눠주는 등의 방식으로 사기를 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화폐의 대표적인 사기 방안은 특정 코인이 상장할 예정이라며 매수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비상장 코인을 싸게 살수 있을때 사라고 하면서 물량을 넘기는 것이 대표적인 방안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일단 공인된 거래소에서 가상자산을 거래만해도 사기를 피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대부분의 사기는 별도의 거래소에서 벌어 지거나 아직 상장이 되지 않은

      코인에 투자할 수 있게 해주겠다는 유혹에 의해 벌어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