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미래부자
미래부자

평소대화할때 아이가 이해를 못할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초등학교 5학년 여아입니다 오늘아침 식빵을구워서 식탁에 구운빵을 털어서 먹는데 가루가 사방팔방 날리는데 그렇게 하면 돼 안되 했더니 아무말도 안해서 반항한줄 알았는데 생각이 안나서 대답을 못했다고 하는데요 평소에도 가끔 그렇습니다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잘 모르는건 이해할때까지 말해줘야 하는지 말하다 화 내기전에 중단해야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견실한시라소니109
      견실한시라소니109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책을 많이 읽게 하시길 바래요

      그리고 다른 사람과 화법도 익혀서 말을 잘 하게 하시고

      다른 사람의 말에 귀귀울이도록 하여

      이런 말들을 이해시키도록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차분히 이해를 시키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를 이해시키면서 화를 내시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되는 것과 안되는 것,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을 시켜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예절교육 및 인성교육을 시켜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지금 아이는 이해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반복을 해서 아이가 이해할 때 까지 알려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 보고 아이의 마음을 돌봐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오로지 답을 맞히는 것만 생각하지 마시고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이해가 될 때까지 생각하는 끈기력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시겠지만 반복 하다보면 시간도 줄어지게 되고 이해력이 점점 높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은 아이이기 때문에 생각도 아직은 어리며, 성인과 비교해서 공감하는 것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런 일이 있을 때 나무라서는 안됩니다

      차분하게 설명을 해줄 필요가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고전환과정이느린아이인듯합니다

      이런아이의경우이해하기쉽게천천히자주말해주는게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빵에서 가루가 나오는 게 당연한 데 부모님이 혼을 내니, 이해가 가지 않아서, 아무말 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ㅇㅇ야 빵에서 가루가 떨어지면, 방이 더러워지는데, 털고 싶을 땐, 개수대에서 털거나, 또는 접시에 담아서 먹는 건 어떨까? 라고 아이에게 조언을 해주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야단 맞을때 너무 긴장을 하면 대답을 못하고 멍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가 두려움으로 스트레스가 되지 않도록 대화 나눌때 톤을 너무높이거나 겁먹지 않게 친절하게 이야기해주세요..


      그리고 꾸준한 독서를 통해 본인의 의사표현을 잘 할수 있도록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평소 아이가 행동이 느리거나 게으른지 모르겠지만요.

      성격인거 같아요.

      다른 사람에 비해 늦게 이해하고 천천히 생각하게 되죠.

      그런 성격은 주위 사람을 힘들게 할 수도 있지요.

      노력을 하면 환경에 의해 성격이 조금의 개선이 되겠지만요.

      아이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고 이야기 할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면서 기다려줘야 할꺼 같아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시기 아이들은 대화보다는 음성이나 어조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합니다. 화를 내지 말고 아이 눈높이로 조곤조곤 설명해주시거나

      예를 들어 설명해주는 방법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고쳐야하는 행동에는 아이에게 질문을 해주시는 것 보다 아이의 눈을 직접 보고 이야기해 주시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아이는 다른 것에 집중하고 있을 때 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들었던 일을 또 잊고 다시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해 아이가 스스로 다 치울 수 있도록 책임감을 길러주시는 것도 방법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