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을 할 때 기준가, 최저가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상장을 할 때 거래소에서
다른 거래소에 있는 경우에는
시가와 기준가, 최저가 이렇게 3가지를 명시해두던데
기준가와 최저가는 어떤 방식으로 결정이 되는 건가요?
그리고 기준가격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상장에 대해서 얘기하시는 것 같은데요.
다른 거래소에 이미 상장되어 있는 코인을 새로운 거래소에서 상장하게 될 때엔 기준가격은 해당 코인의 상장시점에 참고하는 가격으로 다른 거래소 가격을 취합해 평균으로 잡고, 기준가의 % 비율로 최저가를 산정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장할 때의 기준가와 최저가는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각각 특정 방식에 따라 정해집니다. 먼저 기준가는 해당 주식의 거래를 시작할 때 기준이 되는 가격입니다. 상장 첫날의 기준가는 공모가를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이는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투자자들과 수요예측을 통해 산출된 가격이죠. 그러나 다른 거래소에서 이미 상장된 상태에서 이전 거래소의 종가를 기준으로 새롭게 상장하는 경우에는 그 종가가 기준가로 사용됩니다.
최저가는 기준가를 기반으로 거래소의 규정에 따라 설정됩니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하루 변동폭은 ±30%로 제한되기 때문에, 최저가는 기준가에서 -30%를 적용한 가격이 됩니다. 예를 들어 기준가가 1만 원이라면, 최저가는 7천 원, 최고가는 1만 3천 원으로 정해지는 것이죠.
이 기준가의 의미는 투자자들이 거래를 시작하기 위해 참고하는 가격이라는 점입니다. 기준가를 중심으로 시장에서 매수와 매도 주문이 형성되며,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특히 상장 첫날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적과 성장 가능성을 반영해 거래를 활발히 하면서 시가가 결정되는데, 이는 기준가를 중심으로 형성되므로 굉장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상장 시 기준가는 공모가나 이전 거래소 종가를 기준으로 하며, 최저가는 기준가에서 변동폭 하한(-30%)을 적용해 산출됩니다. 기준가는 거래의 출발점이자 투자자들이 참고하는 가격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상장을 할 때 기준가 혹은 최저가는 어떻게 정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상장을 하게 되면 최저가는 기준 가격에서 가격제한폭을 뺀 가격으로 계산이 되고
기준가는 공모가를 바탕으로 계산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장을 할 때 가격을 정하는 기준은 피어그룹 즉 동일 업종에 기업들이 얼마의 PER을 받고
있는지 계산하여 본인들에게 적용을 하게 됩니다.
즉 현재 상장하려는 기업의 매출과 피어그룹의 PER을 통하여 상장가를 결정하게 되는 구조 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 상장할때 기준가는 공모가로 정해지며 이는 기업의 가치 평가를 한 뒤에 적정 주식 가격 범위를 산정하여 희망 공모가의 범위를 정합니다. 이후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요 예측을 진행하여 기관들이 제출한 가격과 수량을 바탕으로 공모가가 결정됩니다. 상장 첫날에는 주가 변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하 변동폭이 플마 30% 혹은 플마 100% 수준으로 정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