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반사 중 모로반사가 무슨 반응인가요?
후배가 신생아를 업고 집에 놀러 왔는데
요즘 모로반사가 귀엽다고 하는데
학창시절에 배운 게 생각이 안나네요
생후 몇 개월네 나타나는 반사인가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로반사는 생후 0~3개월 경에 많이 나타나는 행동으로 갑자기 큰소리가 나서 깜짝깜짝놀랐을때 움찔움찔 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대부분 4개월 이후부터는 조금씩 사라지다가 6개월 정도 에는 완전히 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시기반사로
큰소리나신체위치변화로인해 놀라게되는반사로볼수있답니다.
신생아시기가끝나면서사라진답니다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의 모로반사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신생아가 갑자기 몸을 움찔하거나 만세를 하듯이 손을 번쩍 드는 행동을 하는 것을 ‘모로 반사’라고 합니다.
모로 반사는 빛이나 소리, 자신의 자세 등 주위에서 자극을 받았을 때 일어나는 것으로, 아기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원시 반사의 하나로서 일어납니다.
모로 반사는 아기가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고 운동 기능을 발달시키기 위한 반사 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후 0~3개월경에 많이 나타나며 4개월 이후부터 조금씩 사라지다가 6개월쯤에는 완전히 소실된다. 모로 반사의 강도나 횟수는 아기마다 개인차가 있습니다. 모로반사 외에도 다양한 반사작용이 있습니다.
쥐기반사(파악반사), 걸음마반사, 포유반사, 구순반사, 바비스킨반사, 긴장성반사, 구역반사, 각막반사, 체간 만곡반사, 밀어내기반사, 하품반사, 기어가기반사, 발내딛기반사, 발목 간대성 경력 반사 등이 있습니다.
[출처] : 하이닥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로 반사(moro reflex)는 큰 소리나 신체 위치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신생아 반사이다. 예를 들어 머리를 지지하면서 한 손으로 아기를 들고 있다가 갑자기 팔을 낮추게 되면 아기는 팔을 바깥쪽으로 벌렸다가 안쪽으로 가져가는 행동을 보인다. 이때 보통 등은 휘고 손은 약간 구부정하게 바뀌고, 무릎은 배 쪽으로 접히게 된다. 이러한 반사 행동이 모로 반사인데 그 모습이 마치 아기가 앞에 있는 인물을 껴안으려고 하는 것 같다고 하여 껴안기 반사(embracing reflex)라 부르기도 하며, 아기가 놀라는 반응이라고 하여 놀람 반사(startle reflex)라 하기도 한다(Snow & McGaha, 2003). 모로 반사라는 이름은 이 반사를 발견한 오스트리아 소아학자 언스트 모로(Ernst Moro; 1874-1951)의 이름을 딴 것이다.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로반사란> 신생아의 반사운동 중 하나로서 누워 있는 위치에서 바람이 불거나, 큰소리가 나거나, 머리나 몸의 중의
위치가 갑자기 변하게 될 때 아기가 팔과 발을 벌리고 손가락을 밖으로 펼쳤다가 무엇을 껴안듯이 다시 몸쪽으로 팔과 다리를 움추리는 것을 뜻합니다.
모로반사와 같은 신생아의 반사운동은 생후 3개월 정도에 소실 하게 됩니다.
그러나 생후 4개월 정도 이후에도 모로반사가 계속되면 뇌의 이상 여부를 검진 받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갑작스러운 소리나 상황에 따라서 아이가 움츠려 드는것을 모로반사로 볼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원시반사로 놀라기 반사 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갑자기 큰 소리를 듣거나 바람이 불거나,머리나 몸의 위치가 변할때 팔과 발을 벌린 채 손가락을 밖으로 펼쳤다가 움츠리는 행동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