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일반적으로파란호박전
일반적으로파란호박전

아이가 벌에 쏘였는데 심하게 부어올라서 응급실 방문 문의드립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5

5살 딸이 공원에서 벌에 쏘였는데 쏘인 부위가 계속 부어오르고 있어요.

전에도 벌에 쏘인 적이 있었는데 이번엔 더 심해보여서 걱정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연철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

    아이가 벌에 쏘여 걱정이 많으실 듯합니다.

    아래의 질병관리청 카드뉴스를 참고해서 대처하시고,

    부기가 너무 심해지거나 전신증상(아나필락시스)가 의심되면

    빠르게 응급조치가 가능한 의료진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아이가 잘 회복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벌쏘임 예방법 벌쏘임 발생 현황 최근 5년간('17넌~'21년) 월별 발생 건수 특히 벌초, 가을 산행 등으로 8월~9월에 다수 발생하나, 기온이 높아 10월 까지도 주의 필요 1월: 18 2월:21 3월:58 4월:163 5월:279 6월:470 7월: 1043 8월: 1350 9월 1380 10월: 509 11월 258 12월: 19 출처:질병관리청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23개병원 응급실 방문환자 벌쏘임 예방 수칙 야외 활동 전 벌 쏘임 관련 안전교육 실시 야외 활동 장소에 벌집이 있는지 사전에 확인 벌 쏘임 사고 대처를 위한 응급 처치법 숙지 및 비상용품 챙기기 119출동 대비를 위한 활동 장소 위치 파악하기 향수, 화장품, 헤어스프레이 자제하기 긴 옷, 긴 바지를 입고 어두운 옷보다 밝은색 옷 입기 공격성: 검은색> 갈색>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모기약 스프레이 등을 준비하기 벌집을 건드렸을 경우 몸을 낮추고 20m 이상 빠르게 뛰기 * 벌집 근처에 있으면 벌의 공격성이 줄어들지 않아 더 위험 말벌과 꿀벌의 차이 말벌 일자형으로 뾰족하여 여러번 찌를 수 있음 먹이가 필요하면 집단으로 공격하는 등 매우 위험 특히 장수말벌은 미세한 진동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안전에 더욱 유의 땅벌 보통 땅소겡 살며 말벌보다 작지만, 비행속도가 매우 빠르고 공격적 벌집과 가까울수록 강하게 공격하며 옷속, 머리카락 속으로 파고들어 위험 꿀벌 갈고리 모양으로 쏘고나면 대부분 벌침이 빠져 한 번만 찌를 수 있음 재래꿀벌(토종꿀벌)은 양봉꿀벌(서양벌)에 비해 크기가 더 작지만 날개가 크며 추위에 견디는 능력이 좋음 공격 받거나 이상행동이 감지되지 않는 이상 먼저 공격하지 않음 도심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벌이 존재하므로 항상 주의 필요 벌 쏘임 응급처치 방법 신용카드 등으로 환부의 벌침 제거 얼음주머니 등 차가운 것으로 붓지 않게 하고 증상이 악화되는 지 경과 관찰 손 또는 핀셋을 이용하여 벌침을 제거하는 것은 벌침을 짜서 벌 독이 더욱 체내로 흡수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이용하지 않도록 해야함 벌쏘임 시 나타나는 증상 통증 피부가려움 부기 식은땀 두통 구토 어지러움증 호흡곤란 의식 저하 등 사람에 따라 아나필락시스(알레르기 과민반응) 발생 통증이 지속되거나 아나필락시스 발생시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동 아나필락시스 증상이란? 피부 두드러기 가려움증 홍조 입술 혀 목젖의 부종 호흡기 코막힘 콧물 재채기 기침 쉰 목소리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쌕쌕소리 신경 안절부절 못함 실신 의식저하 심혈관 저혈압 심장마비 빠른맥박 소화기 복통 메스꺼움 구토 설사 일상생활에서 벌 쏘임 예방으로 즐겁고 건강한 삶을 보내세요.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아이가 벌에 쏘여서 심하게 부었다면 병원에 가셔서 처치 받으시는것도 좋습니다 다만 아나필락시스 쇼크반응으로 호흡곤란등이 나타나는 상황이 아니라면 응급실에서 대기 오래하셔야 할수도 있습니다 일단 붓기를 빼기위해 집에서 조치를 해보세요

    벌침이 남아있다면 신용카드 등으로 밀어서 제거하세요.

    쏘인 부위를 비눗물로 씻어 감염을 예방하세요.

    얼음찜질을 해서 부기와 통증을 줄이세요.

    부기가 계속 심해지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

    호흡 곤란, 어지러움, 전신 두드러기 등 전신 알레르기 반응의 징후가 있는지 살펴보세요.

    이전보다 증상이 심하다고 느껴지면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전신 알레르기 반응 징후가 보이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세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거나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면 증상 완화에 도움될 수 있습니다.

    쏘인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유지하면 부기 감소에 도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