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최근들어 왕잠자리나 장수잠자리를 도심에서 왜 보기가 힘든건가요

과거에는 도심이나 도심근교에서 왕잠자리나 장수잠자리가 간혹 자주 봤었는데요

요새는 된장잠자리만 많이 보이고 왕잠자리나 잠수잠자리를 보기가 힘든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도심에서 왕잠자리나 장수잠자리와 같은 큰 종류의 잠자리를 점차 보기 어려워지는 현상은 여러가지 환경적 변화에 원인이 있습니다. 도심의 확장으로 인한 자연 서식지의 파괴는 잠자리 개체수 감소의 주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도시 개발 과정에서 습지와 같은 자연 서식지가 감소하고, 수생 환경의 감소로 인해 잠자리의 산란지가 줄어들거나 사라지게 됩니다. 또한, 서식지의 단편화로 인해 잠자리 개체군이 소규모화되어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할 수 있고, 이는 장기적으로 개체군의 생존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먹이 자원의 감소 역시 중요한 요인입니다. 도시화로 인해 잠자리가 섭취하는 작은 곤충들의 개체수가 감소하며, 이는 먹이 사슬 상의 잠자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먹이 자원의 부족은 잠자리의 성장과 번식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결국 개체수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도심에서 왕잠자리나 장수잠자리 같은 대형 잠자리를 보기 어려워진 이유는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들 요인은 대개 인간의 활동과 관련이 있으며, 잠자리의 서식지와 먹이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왕잠자리나 장수잠자리와 같은 큰 잠자리 종은 주로 습지, 연못, 호수 등 물이 많은 곳에서 서식합니다. 그러나 도시화로 인해 이러한 자연 서식지가 줄어들고, 도심 주변의 습지와 물가가 개발되면서 이들의 서식지가 감소했습니다. 도심에서의 수질 오염도 큰 문제입니다. 공장 폐수, 생활하수, 농약과 같은 오염 물질이 물에 섞이면 잠자리 유충(애벌레)이 자라는 환경이 악화됩니다. 유충은 물 속에서 자라며 깨끗한 물을 필요로 하기에, 오염된 환경에서는 생존과 성장이 어렵습니다. 게다가 도심은 잠자리의 성장이 필요한 자연 환경이 거의 없고,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로가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잠자리가 서식하거나 번식하기 어려우며, 이는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집니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해 지역의 기온, 강수량 등이 변화하면서 잠자리의 생태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온도와 습도가 달라지면, 특정 잠자리 종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결국 환경이 변화죠

    장수잠자리의 경우 서식지의 줄어 들었던거죠

    좋은 것일 수도 있는데 미생물이나 곤충들이 살주 없을 정도로 근처를 잘 살균한 이유도 있어요

  • 최근 도심에서 왕잠자리와 장수잠자리를 보기가 힘들어진 데에는 하나의 이유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도시 개발로 인해 잠자리들이 살아가는 필요한 물과 수생 식물이 풍부한 습지, 논 등의 서식지가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또한 콘크리트 건물과 아스팔트 도로가 늘어나면서 잠자리들이 알을 낳고 애벌레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이 사라졌습니다. 게다가 공장 폐수, 생활 하수 등으로 인해 하천과 호수가 오염되면서 잠자리의 먹이가 되는 수생 생물들이 감소하고, 잠자리의 알과 애벌레가 살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여기에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극심한 기온 변화와 강수량 감소는 잠자리의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겨울철 기온 상승은 잠자리의 월동에 어려움을 주고, 여름철 극심한 가뭄은 서식지의 물을 말려 잠자리의 생존이 어려워지는 것이죠.

    도시의 불빛은 잠자리의 이동을 방해하고, 건축물에 부딪혀 죽는 경우도 많으며 소음은 잠자리의 의사소통을 방해하고 번식 활동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결국 이런 원인들이 겹쳐지며 환경에 적응이 어려운 종들은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된 것이고, 그 중에는 말씀하신 왕잠자리나 장수잠자리도 포함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도시 개발로 인해 자연 서식지가 줄어들고, 연못이나 습지와 같은 잠자리의 번식지와 서식지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또 도시의 수질 오염은 잠자리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오염된 물에서는 알이 부화하기 어려워지고, 성체의 생존율도 낮아집니다.

  • 도심에서 왕잠자리나 장수잠자리를 보기 힘들어진 이유는 주로 서식지 감소와 환경 오염 때문입니다. 이들 잠자리는 깨끗한 물과 습지가 필요한데, 도시화로 인해 자연 서식지가 줄어들고, 물이 오염되면서 서식 환경이 악화되었습니다. 또한, 농약 사용 증가도 이들의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