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오늘도 행복하세요
오늘도 행복하세요24.03.08

미국의 금리인하시점이 언제쯤일까요?

미국에서 금리를 올해는 인하할것같은 시그널을 주고 있는데요.

FOMC의장도 실업률2프로를 기준점으로 삼고 있네요.

언제쯤 미국금리를 인하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현재 가장 유력한 시기는 올해 6월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그 이유는 물가상승률이 2%대 안정적으로 안착한 후에야 인하를 한다고 하였고

      올해 최소 3번의 금리인하를 예고한 만큼 상반기에 최소 1회의 인하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파월 Fed 의장은 하원에서 연내 금리 인하가 적절할 것이라면서도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인 2%로 지속 가능하게 움직인다는 더 큰 확신을 얻기 전까진 기준 금리 인하가 적절하지 않다고 발언했다. 이는 금리 인하에 신중론을 펴던 기존 태도와 같지만, 시장에선 인플레이션 둔화로 Fed가 예상대로 올해 중순 경에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에 안도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의 전제는 안정적인 물가 상승입니다.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계속 이동하고 있다는 확신이 더 들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발언하였으며, 그 지점까지 멀지 않았는데, 긴축 강도를 완화하기 시작하는 게 적절할 것이라고 말하며 상반기 내 금리 인하를 시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한 명확한 신호를 주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최근 제롬 파월 Fed 의장은 미국 경제 지표들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며, 추가 금리 인상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반면 인플레이션 압력도 다소 완화되고 있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질 경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견해들도 있습니다.

    파월 의장이 언급한 실업률 2% 수준은 금리 인하를 위한 절대적 기준은 아니며, 주가 변동성, 무역 마찰 리스크 등 다른 요인들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경기 둔화 신호가 뚜렷해질 경우 하반기에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제기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실업률의 기준이 아니라 CPI를 기준으로 하여서 미 연준이 목표로 하는 2%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를 보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현재의 추세대로라면 올해 중순쯤 2%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올해 중순이후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기로는

    미국과 같은 경우 올 하반기부터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언제 금리를 인하할지는 아무도 알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경제학자나 전문가들은 하반기부터 금리인하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질문 속에서도 언급하신 것처럼 미국 연준에서는

    자신들이 봤을 때에 금리 인하를 할 수 있는 조건들

    (예를 들면 실업률 2%)

    이 맞아떨어지면 혹은 그 정도의 확신이 들 경우 금리 인하를 하게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