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리모델링 사업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아파트를 재건축 하기 보다는, 사업 속도와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리모델링을 하는 단지들이 많아졌는데요. 그러나, 분담금 때문에 사업 진행이 늦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기도 하다는데...
분담금 때문에 사업 속도가 안나는 경우, 그래서 반대를 하여 사업 자체가 차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는데요.
분담금을 지불할 능력이 안된다고 하면, 책정 하기 전에 호재 때문에 가격 상승이 이뤄지고 매도를 하고 다른 아파트로 이사를 가면 되는거 아닌가요?
사업 자체를 안하는 것 보다는 일단은 진행하고, 분담금 지불 능력이 안되면 상승한 집값으로 다른 아파트로 갈 수 있는.. 점프할 수 있는 기회 아닌가요?
분담금 때문에 사업 자체를 동의하지 않는 것이 맞나 싶어서요..?
일단은 호재 반영으로 가격이 오를 수 있는 기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를 재건축 하기 보다는, 사업 속도와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리모델링을 하는 단지들이 많아졌는데요. 그러나, 분담금 때문에 사업 진행이 늦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기도 하다는데...
분담금 때문에 사업 속도가 안나는 경우, 그래서 반대를 하여 사업 자체가 차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는데요.
분담금을 지불할 능력이 안된다고 하면, 책정 하기 전에 호재 때문에 가격 상승이 이뤄지고 매도를 하고 다른 아파트로 이사를 가면 되는거 아닌가요?
==> 네 그럴수도 있지만 남아 있는 분들도 있는 만큼 분담금 규모가 사업이행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사업 자체를 안하는 것 보다는 일단은 진행하고, 분담금 지불 능력이 안되면 상승한 집값으로 다른 아파트로 갈 수 있는.. 점프할 수 있는 기회 아닌가요?
==> 그렇수도 있습니다.
분담금 때문에 사업 자체를 동의하지 않는 것이 맞나 싶어서요..?
일단은 호재 반영으로 가격이 오를 수 있는 기회 아닌가요?
==> 모든 사업을 진행하는데 장단점이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맞습니다. 하지만 세대마다 다 사정이 있고, 사업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고, 또한 사업에 대한
방향을 알기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세대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주민들 동의율이 묻고 주민들의 동의율이 다수일 경우 사업이 시작이 되는 것입니다. 특히 연세가 많으신 어르신들이 많은 경우는 개발 사업에 매우 부정적이라 어르신들이 많은 아파트는 사업하기 힘이 듭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리모델링이 진행되는 단지는 입지가 좋고 신도시에서도 중심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사를 가지 않으려고 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또한 분담금 때문에 진행이 안되는 것보다 리모델링을 진행할 때 구조가 마음에 들지 않아 진행이 안되는 점도 무시할 순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그러면 좋은데 연세드신분들은 무조건 반대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한동안 리모델링으로 추진을 많이 했었는데 추가분담금때문에 무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금은 뭐를 한다해도 확실하지가 않아서 힘들거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국 감정평가사입니다.
질문자님 께서 하신 말씀도 일면 타당한 측면이 있겠지만 결국엔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해당 부동산 소유자의 판단입니다. 실제로 다양한 사람들이 있으시겠지만 자기 소유의 부동산에 대한 경제적 가치 만을 기준으로 매매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개인의 다른 가치를 기준으로 매매하는 특수한 경우도 있습니다. 가령, 어릴 적 부터 지내온 집이기 때문에 매매하지 않는 경우, 선대부터 내려오는 부동산의 경우,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경우 등 경제적 가치보다 소유의 가치를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경우 경제적 이득을 볼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포기하고 소유하는 경우들이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