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밀도 검사는 어떤 원리로 통해 뼈의 강도를 측정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병원에서 골밀도 검사는 어떤 원리로 통해 뼈의 강도를 측정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골밀도검사는 뼈가 X선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는데요 뼈의 밀도가 높을수록 X선을 더 많이 흡수하기때문에 뼈의 강도와 골다공증의 위험을 평가할수있습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골밀도 검사는 뼈의 강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주로 x선이나 총므파를 이용해 뼈의 밀도를 평가합니다 이 검사는 뼈의 미세구조와 강도를 반영하는 t스코어를 제공해 골다공증과 같은 질환의 위험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골밀도 검사는 비침습적이며 뼈의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크게 초음파로 검사를 하거나 (초음파를 몸에 투과시켜 뼈의 밀도를 측정) 아니면 CT를 통해 면적과 밀도를 계산 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추가로 정확하게 방사선 X선을 몸에 투과시켜 뼈가 X선을 투과하는 양을 계산하여 밀도를 계산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정밀도로는 X선 투과하는 방식 > 초음파 > CT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골밀도 검사는 두개의 x선을 투과하여 뼈가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정량적 초음파와 컴퓨터단층촬영법의 다른 방법도 있지만, 보통 X선을 투과하는 방식이 일반적 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뼈의 강도를 측정할때는 방사선을 쏴서 얼마나 투과가 많이되는지를 기준으로 밀도를 계산하는것으로 판단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
골밀도 검사는 이중 에너지 X선 흡수법(DEXA)을 이용해 뼈의 밀도와 강도를 측정합니다. X선이 뼈와 연조직을 통과하는 방식을 통해 골밀도(BMD)를 계산하며, 결과는 T-score와 Z-score로 나타납니다. T-score가 -2.5 이하이면 골다공증으로 진단됩니다.
물리치료 및 재활 전문가 김태호입니다
방사선을 이용하여 뼈의 밀도를 측정한다고 보시면되는데
x선의 흡수하는 량에 따라 밀도가 결정됩니다
골밀도가 높다면 X선의 양이 적을 것이고, 반대로 골밀도가 낮다면 검출하는 장치까지 도달하는 X선의 양이 많아지게 됩니다
표본으로 보통 척추 중앙 배꼽지점과
대퇴 골두를 표본으로 밀도를 측정합니다
수치상 -1 이상이면 정상,
-1∼-2.5 사이면 골감소증
수치가 –2.5 이하일 경우 골다공증으로 분류합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정형외과 전문의입니다.
방사선 투과도를 측정해서 확인합니다.
골량을 확인하고 골질을 측정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골밀도 검사는 DEX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라고 하는 검사를 통해서 확인합니다.
이름에 들어있듯이 두개의 에너지 레벨이 다른 X-ray 를 투과시켜서 X-ray 흡수정도를 측정해서 뼈의 밀도를 측정해냅니다.
근육, 지방, 뼈 이런 구성성분마다 X-ray 흡수정도가 다르고 이게 X-ray의 에너지 레벨마다 흡수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두가지 X-ray를 사용해서 골밀도 측정이 가능한겁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골밀도 검사는 두가지의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가진 X선을 사용하여 뼈의 밀도를 측정합니다.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해 에너지가 높은 X선과 낮은 X선으로 두 번 촬영한 후, 뼈의 흡수율 차이를 분석합니다.
보통 검사대에 누워 X선 기계가 자동으로 촬영을 진행하며 시간은 10분 ~ 30분 정도 걸리며, 결과는 보통
T점수와 Z점수로 제공되며 골밀도의 정상범위와 비교하며 평가 후 진단을 받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셨다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골밀도 검사는 뼈의 밀도와 강도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주로 골다공증과 같은 골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검사는 일반적으로 척추, 엉덩이, 팔꿈치와 같은 중요한 뼈 부위를 대상으로 하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골밀도 검사 방법은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측정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입니다.
해당 기술은 뼈에 X선을 투과시키고 흡수된 X선의 양을 측정하여 뼈의 밀도를 계산합니다. 뼈 조직과 주변 조직의 흡수율 차이를 이용하여 밀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즉 X선 투과를 이용한 뼈의 밀도를 측정하는 검사고 Z score T score 같이 계산된 통계적 수치를 기준으로 골다공증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