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아주산뜻한스시
아주산뜻한스시

7살 아이의 행동 조언 부탁드립니다.

7살 아이 주3회 봐주고 있습니다.

대충 부모님은 맞벌이이신것 같고

아침에는 유치원, 저녁에는 시터 이모가 봐주시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계속 임신 놀이를 하자고 하며

아이를 낳는 시늉을 하거나 신음소리를 내는 행동을 지속합니다

또한 본인은 부자 엄마라 슈퍼카를 끌고 부자 아기를 낳지만

선생님은 가난한 엄마라 골판지 집에서 나쁜 가난한 아이를 낳는다,

부자 엄마라 황금을 가지고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지만

가난한 엄마는 동전 하나밖에 없어서 버스비를 내느라 커피를 못 마신다,

부자 아기는 캠핑카를 타고 여행을 가지만 가난한 엄마는

캠핑카가 없으니 뛰어오라고 합니다

인형 놀이를 할때도 가장 어린 인형에게 넌 너무 유치하다며

유치한 애와는 놀기 싫다며 인형을 던지고 비웃곤 합니다.

아이 어머님은 아이를 너무 예뻐하시는게 눈에 보이고

굉장히 점잖으신데다가 아이가 엄마 앞에서 하는 행동과

제 앞에서 하는 행동이 너무 달라

이러한 아이의 행동을 어머님이 알고 계시는지

말씀을 드려야할지 고민이 되어 조언을 구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행동발달적 특성은 잘 관찰하여 부모에게 아이의 관한 부분을 알려주어야 함은 맞습니다.

    그러나, 부모의 입장에서는 우리 아이가 행동적으로 이상이 없다 라고 생각하지 이렇게 까지 안 좋은 행동을 한다

    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부분이 클 것 입니다.

    그렇기에 아이가 어떠한 놀이를 하는지 영상을 찍어서 부모와 상담 할 때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원과 가정이 잘 연계하여 아이의 문제적 행동을 잘 지도해 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심리적 + 정신적인 부분의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 이 상황을 부모에게 말해주는 것은 당연하지만, 부모가 어떠한 태도로 받아들일지는 미지수입니다.

    아이의 놀이 행동에서 보이는 임신 시늉, 신음소리, 빈부 차이 설정, 인형에 대한 비하 등은 단순한 상상 놀이를 넘어 사회적 인식이나 감정 표현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히 어머니 앞과 시터 앞에서의 행동이 다르다는 점은 아이가 특정 상황에서 감정을 숨기거나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아이의 내면 상태나 환경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어머님께 조심스럽고 객관적으로 상황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이의 창의적 놀이로 볼 수도 있지만, 반복적이고 특정한 내용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이의 정서적 발달을 위해 보호자와 시터 간의 열린 소통이 중요하며, 아이가 안전하고 존중받는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7세 아동의 임신놀이나 부자 가난한 놀이는 호기심과 사회적 비교가 반영된 상징놀이의 일종이지만, 신음소리나 비하 표현은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미디어 노출, 주변 어른의 대화, 또래 영향등이 원인일수 있습니다. 우선 꾸짖기보다 '왜 그런 놀이를 하게 됐는지'자연스럽게 묻고 관찰하세요

  • 안녕하세요. 유치원 교사입니다.

    7살 아이의 행동에 대한 조언을 듣고 싶으신 것 같아요 주3회 아이와 함께 있는데 아이가 다소 부자와 가난에 대해 편파적으로 판단하며 임신놀이를 하는 것으로 보이고 걱정이 되시는 것 같아요. 아이와 함께 부자는 무조건 좋고, 가난은 무조건 나쁜것이 아닌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고 시야나 관심을 다른쪽으로 돌리며 놀이방향전환도 필요해 보입니다.

    역할놀이 말고 미술놀이나 보드게임 놀이 등 다른 놀이 전환도 좋을 것 같아요.

    그래도 아이가 계속 그 놀이만 원하고 즐긴다면 분명 걱정이 될 것 같아요.

    걱정이 되는 부분이 있다면

    조심스럽게 말씀을 전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아이가 걱정되는 부분을 부모님께 말씀을 드리는 것이고, 오해없이 마음이 전달되면 좋을 것 같아요 오늘도 화이팅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