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파란만장기러기19
파란만장기러기19

현대 소설에서 서술자의 시점 변화가 독자에게 주는 심리적인 효과는?

안녕하십니까.

현대 소설에 있어서 소설은 시점에 따라 독자의 몰입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대 소설에서 서술자의 시점 변화가 주는 효과에 대해서 전문가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서술자의 시점이 바뀌면 독자가 이해하게 되는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인칭 서술자와 3인칭 전지적 작가의 관점에서 같은 사건을 묘사할 경우, 독자는 사건에 대한 정보와 감정적 반응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서술자의 관점 분석은 문학 비평에서 필수적이며, 독자는 이 분석을 통해 작품의 주제나 메시지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됩니다.

    1인칭의 경우 주인공의 생각과 감정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여 그들의 내면 세계를 깊이 이해할 수 있지만, 주인공의 시각에 국한되어 다른 등장인물의 생각과 감정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3인칭의 경우 작가가 객관적인 관찰자의 역할을 맡아 여러 등장인물의 생각과 감정을 보여주는데 이야기를 더 넓은 시야에서 바라볼 수 있고, 등장인물 간의 관계와 갈등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리합니다. 하지만 주인공의 내면 세계를 1인칭 시점만큼 자세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야기 도중 시점의 변화는 독자의 경험을 더 풍부하게 할 수 있습니다.

    1인칭 시점이던 이야기가 갑자기 3인칭으로 바뀌게 되면 독자는 새로운 관점에서 이야기를 바라보게 되고, 등장인물 간의 관계와 갈등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그 반대일 경우는 포괄적이던 부분이 좀더 주인공의 내면의 깊이를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시점의 변화는 서사의 혼돈이 없도록 부드럽게 진행되어야 하고 너무 잦은 시점의 변화는 되려 독자로 하여금 서사에 집중되지 못하게 할 우려도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현대소설에서 서술자의 시점 변화는 독자가 사건과 인물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달라지게 하며 몰입과 성찰을 동시에 유도합니다. 1인칭 시점에서는 화자의 제한된 경험과 감정을 따라가며 강한 공감과 몰입을 느끼게 되고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는 사건 전체를 객관정으로 바라보며 거리를 두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점 전환은 긴장과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때로는 혼란을 의도해 작품의 메시지를 더 강하게 각인시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김영하의 소설 '검은 꽃'은 다양한 인물의 시점을 교차시키며 사건을 보여 주는데 이를 통해 독자는 역사적 사건을 한 방향이 아닌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게 되고 각기 다른 인물들의 고통과 선택에 공감하게 됩니다. 이처럼 시점 변화는 독자의 정서적 반응과 사고 과정을 유도하는 중요한 문학적 장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소설에서 서술자의 시점 변화는 독자의 몰입과 해석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시점이 바뀌면 사건의 입체적 전달, 인물 심리의 복합적 이해, 그리고 상상력과 자율성 등이 조절되어 소설의 분위기와 감정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시점 변화의 주된 효과

    1. 입체적 사건 전달과 다양성

    -여러 인물의 시점을 통해 하나의 사건을 다양한 각도와 감정에서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상황이 다르게 해석되어 사건의 다층적 의미와 입체감이 살아날 수 있습니다.

    -군상극(여러 주인공의 시점을 바꾸는 서사)에서 특징적으로 활용되며, 독자가 각 인물의 내명과 동기를 깊이 알게 됩니다.

    2. 심리의 깊이와 제한성 조절 효과

    -1인칭 시점에서는 내면 심리가 생생히 드러나 독자의 공감과 몰입이 커지며, 정보가 한정되어 김장감과 궁금증이 유발됩니다. 3인칭 전지적 시점에서는 여러 등장 인물의 심리와 상황을 자유롭게 파헤칠 수 있어, 설명 범위가 넓어지지만, 때로는 주인공의 체험적 몰입이 제한됩니다.

    3. 신뢰와 거리감 조절 효과

    -시점 전환은 이야기 속 진실에 대한 신뢰도나 서술자와 독자의 심리적 거리를 바꿉니다. 가령, 1인칭 서술은 친근감과 신뢰감을, 3인칭 전지적 시점은 객관성과 거리감을 부여합니다.

    4. 반전과 서술 속임수의 가능성

    -시점 변경을 통해 서술자가 일부러 정보를 감추거나 왜곡하여, 의도적인 반전이나 미스터리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독자는 시점을 따라가며, 서술자의 관점에 한정된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후 시점 변화에 따라 새로운 진실을 알게되어 놀라움과 재미를 느끼게 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서사의 시점은 기본적으로 거리감에 있습니다.. 1인칭이냐 2인칭이냐 3인칭이냐에 따라 좀 더 멀리서 객관적으로 상환을 멀리서 볼수있는 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시점을 변화를 주게되면 굉장히 역동적으로 서사가 진행될수 있고 시점변화 자체에 의한 긴장감의 발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