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타피오카
타피오카

고기를 구워먹고 계속 피곤하고 두통이 있는데 괜찮을까요?

나이
20
성별
남성

고깃집에서 고기를 구워먹었는데 일산화탄소 때문인지 숨 쉴때 좀 답답한 느낌이 들어서 중간중간 밖에 나가서 쉬긴 했었는데요 지금 시간이 많이 지난 상태인데도 계속 졸린 느낌이들고 두통도 조금씩 있는데 일산화탄소를 많이 마셔서 그런걸까요? 그리고 일산화탄소로 뇌손상이 오려면 의식을 잃을 정도의 농도여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고기 구워먹고 연기나 일산화탄소의 영향으로 두통이 올수 있지만 일시적이고 뇌손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가스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농도에 노출될 경우 말씀하신대로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경미한 증상으로는 두통, 현기증, 피로, 메스꺼움, 졸음과 같은 것들이 있는데, 질문자님께서 경험하고 계신 증상과 유사하여 걱정스러우실 수 있겠지만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노출이 중단되면 서서히 개선됩니다. 또 일산화탄소 노출로 인해 뇌 손상이 발생하려면 고농도에 장기간 노출되어 의식을 잃는 등의 심각한 상태에 이르러야 합니다. 그러므로 질문자님께는 뇌 손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고깃집에서 고기를 구워 먹은 후 졸림과 두통 증상이 지속된다면, 일산화탄소 중독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뇌 손상을 일으킬 정도로 심각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뇌 손상이 올 정도로 심한 일산화탄소 중독은 의식 소실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지속된다면 안전을 위해 가까운 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여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일산화탄소 중독과 뇌손상 관련한 내용 말씀드리면

    뇌손상은 일산화탄소 중독의 심각한 결과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이는 보통 고농도의 일산화탄소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일산화탄소로 인해 의식을 잃을 정도로 높은 농도에 노출되면 뇌손상의 위험이 커집니다.

    경미한 노출은 주로 일시적인 증상을 유발하며, 지속적인 노출을 피하고 신선한 공기를 마시면 증상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혈중 농도와 증상 관련 내용은 아래 질병관리청 링크에서 확인해보세요.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205130201

  •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가스로, 불완전 연소 시 발생하며, 고깃집과 같은 실내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산화탄소는 혈액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 운반을 방해하기 때문에 두통, 피로, 어지러움, 메스꺼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일산화탄소 중독의 경미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일산화탄소로 인한 뇌손상은 일반적으로 고농도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하며, 의식을 잃을 정도의 농도가 되어야 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경미한 노출이라도 지속적인 증상이 있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두통과 피로가 지속되고 있다면, 가능한 한 신선한 공기를 많이 마시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머무르시기 바랍니다.

  • 일산화탄소를 어느 정도 흡입할 경우에 두통과 피로 증상이 생길 수 있으습니다. 반드시 실신을 하여야만 일산화탄소에 중독이 된 것은 아니며 경증으로 일산화탄소에 대한 부정적인 증상이 발생할 경우에 단순히 피곤한 증상과 두통 증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고기집에서 드신 정도로 일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호전될 것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새요. 만약 증상이 호전이 되지 않는다면 그 때는 병원진료를 받으셔야갰지만요

  • 작성된 댓글은 참조만 하시고, 전문가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말씀하시는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은 높지 않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