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라울곤잘
라울곤잘23.09.18

29개월된 아이 말을 너무 안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29개월된 둘째 아이가 말을 너무 안합니다.

또래 아이들과 비교해서 말이 너무 느리네요.

걱정이 되는데 어떻게 교육을 해야 할지 너무 고민입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8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9개월 아이가 또래에 비해 언어발달이 지연되어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영유아 시기에는 끊임없이 언어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4세에서 5세 동안에는 단순한 문장에서 벗어나

    문장과 문장이 연결된 표현을 사용합니다.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어미와 접속사를 사용하게 됩니다.

    5세 무렵의 아동은 성인 언어체계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어느정도 습득한 상태라고 보면 됩니다.

    가정에서 아이의 언어발달을 돕기 위해서는 아이와 일상적인 대화를 자주 나누고, 아이에게 동화를 꾸준히 들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놀이를 하는동안에도 오디오북이나 음악을 들려주면 언어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동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능, 신체적 요인, 사회·정서적 요인, 성별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

    - 가정의 사회 경제적 위치, 가정의 문화, 형제·자매의 유무 등과 같은 가정 환경적 요인,

    -교사, 학급의 크기, 교수 학습 방법 등과 같은 교육 환경적 요인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언어자극을 많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에게 끊임없이 이야기해 주고 질문해 주시고 대답을 하지 못하니 자문자답의 형식으로 언어자극을 주세요. 그리고 동화책을 많이 읽어 주면서도 자문자답의 형식으로 이야기해 주시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언어자극을 해주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언어자극 방법으로는 책을 많이 읽어주는 것과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고, 질문을 해주시면서 아이가 답변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백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의 언어사용과 노출, 상호작용이 아이의 언어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자주 말을 걸어주시고 대화하려고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29개월이라면 어느정도 말을

    유창하게 할 수 있어야 해요

    그렇기에 한번 검사를 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같이 노래를 불러보거나 혹은 책읅 읽어보는것도 언어발달에 도움이될수있으며

    천천히 집에서 말하여 입모양을 보여주며 말을 읽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아이가 너무 말이 느리다면

    한번 언어 발달 검사를 받아보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이느린아이

    1.다른발달이느린지파악

    2.다른발달도느리다면 심리검사필요

    3.그렇디않다면 언어적으로꾸준히자극해주기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책을 매일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말을 전혀 안한다면, 언어 진단 검사를 받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와 자주 놀아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이 느린 아이들의 경우 성장발달 정도 차이에 따라서 나중에

    말을 잘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으나 아이가

    말이 느린 경우 자주 대화를 하고 책을 읽어주면서 말이나 글에 대하여 자신감을

    가질수 있도록 해주시면 언어발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혼자 놀게 해서는 안됩니다

    아이가 많은 말을 하게 하기 위해서는 엄마 아빠가 아이와 같이 놀면서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열심히 해줘야 아이의 언어력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가 영아기에 음절이 반복된 단어를 자주 말해주고 다양하고 긍정적인 말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말이란 즐겁고 기쁘며 좋은 것이란 인식을 아이가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아이가 말을 늦게 해서 답답하더라도 끝까지 듣고 끼어들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가까운 언어발달센터나 병원을 가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요즘은 코로나 등의 영향으로 언어 발달 지연을 보이는 친구들이 많은데 보통 36개월까지는 지켜봐도 된다고 하지만 최대한 빨리 진단을 하고 말을 하는 것에 있어 불편한 점을 하루라도 빨리 해결해 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가정에서는 대화를 나눌 때 아이가 입모양을 잘 보고 따라할 수 있도록 중요한 단어는 천천히 또박또박 말해주시고 잠자리 독서 등으로 많은 어휘를 접할 수 있게 도와주시면 언어발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는 상호작용이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합니다.

    주 양육자가 아기에게 말을 많이 시켜주고 아기가 하는 말 한마디한마디에 대해 상호작용을 해주세요.

    인풋 양도 늘려 주면 좋습니다. 듣는 말의 양을 늘리는 것입니다.

    크게 좋아지지 않는다면 치료센터에 방문하여 전문가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