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배고픈제비110
배고픈제비110

일제시대때애국가음이 찬송가음이던데 애국가작사하신분의종교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배고픈제비110입니다.일제시대때 애국가곡이 찬송가하고똑같던데 애국가작사하신분이 예수님믿으셨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그렇게 된 이유는 애국가의 가사가 먼저 만들어졌고

    나중에 안익태 선생님이 작곡을 하여 음을 붙혔습니다. 안익태 선생님이 작곡을 하기전에는 마땅한 음이 없었기 때문에 찬송가의 음을 빌려온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일제시대에는 애국가가 찬송가의 곡조와 멜로디를 따와 만들어졌습니다. 이 때 애국가의 작사자인 양병길씨는 기독교 신부였습니다. 그러나, 양병길씨의 종교가 애국가 작사와는 크게 관련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사실 양병길씨가 작사한 애국가의 가사는 전통적인 애국가의 주제인 조국애, 독립, 그리고 민족의 위대함 등을 강조하는 내용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사람아ㅔ 따라 해석이 좀 다를 순 있습니다. ^^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애국가는 국가를 대표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국가와 애국가는 조금은 다른 뜻으로 쓰입니다. 애국가는 공식적인 것이 아니라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으면 어떤 것이든 상관 없이 가사를

    붙혀서 했었기때문입니다.

    애국가 같은 경우는 우리나라가 지금 작곡이 되지 않았을때에 노래가 익숙한 곳에 가사를 붙여서

    불렀고 나중에 작곡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작사자로 추정되는 사람이 전부 개신교 신자들이고 이들이 야훼를 염두에 두고 작사했을 가능성은 충분하여 지금까지 발견된 1945년 이전에 나온 제일 오래된 악보는 윤치호가 작사한 것으로 알려진 가사로 여기서는 개신교에서 가르키는 말인 하나님이 보호하사 로 나오며 윤치호는 개신교 신자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교적 영향을 배제할 수는 없으나 그당시 새로운 서양음악을 수용한 다른 노래들도 비슷한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서양음악에 대한 영향이 더 커보입니다. 찬송가도 애국계몽기에 서양문화가 들어오는 시기에 들어와 비슷한 경향을 가진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애국가는 대한민국의 국가로 채택된 곡이며, 그 작사가는 윤치호 선생님입니다. 윤치호 작사가는 예수님을 믿는 기독교 신자였으며, 대한민국 건국과 국가의 독립을 염원하는 애국가를 작사하였습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실시한 교육정책으로 인해 애국가와 찬송가의 가사가 혼용되는 경우가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찬송가와 애국가 모두 감동적이고 역동적인 가사를 가지고 있어서, 일제강점기 시기에 일부에서 이 두 가사를 혼용해서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애국가 자체는 대한민국의 독립과 자주성을 염원하는 민족주의적인 가사를 지니고 있으며, 윤치호 작사가 역시 예수님을 믿는 기독교 신자였기 때문에, 애국가와 찬송가는 서로 다른 가사와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국에서도 일본의 교육 체제가 시행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의 국가주의적인 음악은 금지되고, 대신 일본의 국가주의적인 음악이 선호되었습니다.


    애국가 역시 일제시대에 금지되었으며, 대신 일본의 국가주의적인 찬송가가 대신 사용되었습니다. 이 찬송가들은 일본군에서 사용되었던 군가나, 일본의 국가주의적인 교육 체제에서 사용되었던 교가들이었습니다.


    따라서, 애국가와 같은 한국의 국가주의적인 음악은 일제시대에 금지되었고, 그 대신 일본의 국가주의적인 음악이 대신 사용되었기 때문에, 애국가와 같은 한국의 전통적인 음악과는 다른 음악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