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유능한스라소니93
유능한스라소니9322.08.01

전기차가 진짜 친환경 제품인가에 대해 궁금합니다.

기존 에너지에 의존하는 차량들이 생활환경 보호를 위해 전기차로 밚이 전환되고 있는데요.유럽은 35년 부터는 기존 엔진차량은 생산을 중지한다고 합니다.

물론 전기자체만 놓고는 친환경이라 할수 있지만 밧데리를 만드는 과정자체가 전혀 생활환경에 오염이 없는 친환경 제조공법 인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자동차의 경우 구동시 이산화 탄소가 배출되지는 않지만, 배터리 생산과정, 또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 중에 많은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완성차로 보면 친환경이나, 그 요소요소에는 환경을 위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도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차는 아시다시피 배터리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배터리의 원재료들은 광물이 많습니다.


    광물들을 캐내고 그것들을 가공하는 공정에서

    환경오염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들 때문에 양극, 음극제의 원료가 되는 전구체들의 생산은 개발 도상국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우리나라 배터리 산업 자체가 원재료 수급에 흔들릴 수 있다고들 합니다.


    추가로 광산자체가 환경을 파괴하면서 원석들을 채취하는것이지요.


    마지막으로 현재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들이 개발 중이긴 하지만 아직 갈길이 멀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원재료들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화학적인 처리가 들어갈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반도체 기판을 재활용 하는 도시광산 이라는 업계도 화학처리를 통해서 귀금속들을 채취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데로 배터리를 만드는 과정은 전혀 친환경적이지 않죠. 게다가 희귀금속도 많이 사용되고, 각종 유해물질도 있어서 나중에 폐배터리가 생기기 시작한다면, 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이를 처리하는 것도 큰 이슈 중 하나입니다.

    다만, 친환경이라고 불리우는 이유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경유 차량 '대비' 운행 시 발생하는 환경 오염적 요소가 적어서 입니다. 그리고, 재충전하여 사용하는 만큼 지속적인 유류 소모, 이로인한 각종 대기오염 가스가 발생 되지 않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이기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베터리를 만들면서, 혹은 폐기하면서 나오는 오염물질도 있습니다..

    주행 시 전기를 사용하기때문에 CO2배출량이 없기 때문에 친환경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전기도 발전시 화력발전 등을 사용한다면 실제 co2배출량의 차이는 크게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조공정자체가 친환경이라 볼수는 없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량의 전기와 매연등이 발생합니다. 다만 휘발류나 경유를 사용해서 차랑운행함에 따른 CO2발생량은 줄어드니 상대적으로 친환경인거죠.


  •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관련해서 이견이 많습니다.

    전기차에 사용하는 전기는 대부분 화력이나 원자력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람들의 의견이 서로 다릅니다.


  • 현재 연료를 사용하는 방식을 통틀어서 비교하면 전기차가 더 친환경적인 것입니다.

    전기차의 생산과정까지 친환경이냐고 물으신다면,

    현재 자동차의 생산과정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는 없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를 생산하는데 화석연료를 사용하기때문에 친환경적이지 않아 보일 수 있지만,
    전기자동차가 아니더라도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다른곳에 쓰이기 마련입니다.

    즉,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생산하는 에너지 양이 같더라도, 화석연료를 태워 자동차를 굴리는 것이 추가가 된것보다는,
    화석연료발전만 하고 자동차 매연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전기차라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