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매 용어인 낙찰률, 낙찰가율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
오늘 뉴스를 보니깐 경매 낙찰률은 28%, 낙찰가율은 120%->80%가 되었다고 하는데
각각 낙찰률과 낙찰가율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경매의 낙착률을 낙찰 받은 확률이며
낙찰기율을 그 비율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낙찰가율은 부동산 감정가 대비 낙찰차가의 비율을 말합니다. 즉, 최초 경매를 위한 감정평가가격 보다 높으면 100%이 넘고, 낮으면 감정가보다 낮게 낙찰이 되는 것입니다.
낙찰률은 입찰을 진행한 물건 중에 낙찰된 물건수의비율을 말합니다 .질문에서 28%라면 쉽게 100건 경매중 28건만 낙찰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낙찰률은 경매에 부쳐진 물건들 중 실제로 낙찰된 물건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경매 물건이 100건 나왔는데 그 중 50건이 낙찰되었다면 낙찰률은 50%에 이릅니다. 경기가 좋으면 낙찰율도 높게 나오지만 경기가 나빠지면 낙찰율도 떨어집니다.
낙찰가율은 부동산 감정가 대비 낙찰가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낙찰가율이 100%를 넘어서면 낙찰된 물건의 입찰 가격이 감정가보다 높다는 뜻입니다. 낙찰가율은 매각가율과 같은 뜻이며 법원 경매 통계자료에서는 매각가율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뉴스에서 언급한 '경매 낙찰률은 28%, 낙찰가율은 120%->80%가 되었다’는, 경매에 나온 물건 중 28%만이 낙찰되었으며, 낙찰된 물건의 가격이 감정가의 120%에서 80%로 떨어졌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경매 시장의 상황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낙찰률은 경매에 참여한 입찰자 중에서 실제로 낙찰된 입찰자의 비율을 말합니다. 즉, 경매에 참여한 입찰자 중에서 낙찰된 입찰자의 수를 전체 입찰자 수로 나눈 값입니다.
낙찰가율은 경매에서 낙찰된 부동산의 가격을 경매 시작가격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즉, 낙찰가를 경매 시작가격으로 나눈 값입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총 경매 갯수중에 낙찰이 된 물건을 센게 낙찰률입니다.
낙찰률 28%라고 하면 100건의 경매중에 28건이 낙찰되었다는 뜻입니다.
낙찰가율은 경매 개시가 대비 낙찰가를 말합니다.
경매가 1억에 나온 물건이 1억 2천에 낙찰되면 낙찰가율이 120%, 8천에 낙찰되면 낙찰가율이 80%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