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의 이론 중에서 행동조성, 부적강화
스키너의 이론에서 왜 복잡한 행동의 점진적 습득을 행동조성이라 하는 것이며, 부적강화는 어떻게 정의하며 특정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처벌과는 어떻게 다른가요?
처벌을 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어떤 행동에 대해서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을 구분 짓지 않고 무조건 부정적인 것으로 처리를 하는 방법이 처벌에 해당됩니다. 반면에 부정강화는 아이가 어떤 잘못을 했을 때 좋아하는 것을 제거함으로써 아이에게 그 행동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연구 결과 가장 생산적이고 교육 교육적인 방법은 긍정 강화 방법으로서 어떤 행동에 대해서 아이가 좋아하는 요소들을 더해주며 강화를 하는것이라고 합니다.
스키는 행동주의이론으로 많이 알려져있으며
사람의 행동에 있어서는 강화와 처벌등으로 인해서 소거를 하거나 강화를 시키는것으로 정의하고있으며
처벌은 아이의 행동에 대해서 막는것으로본다면 강화는 아이의 행동에 대해서 점진적으로 줄이고 늘리는것으로볼수있을것입니다.
스키너는 인간의 행동이 반응행동 보다는 조작행동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된다고 보았습니다.
조작적 조건형성 및 그외 관련된 다양한 원리와 방법(스키너의 상자로 불리는 조작전 조건화 상자)을 제시 하였습니다.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환경에 대한 자극보다는 행동의 결과에 따라 변화된다고 보고 환경을 조작하여 그러한 행동의 반응비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한 이론 입니다.
스키너의 부적강화는 자극을 제거하여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 입니다.
나쁜 행동을 하지 않으면 좋은 곳을 주거나 싫은 것을 제거해 주는 것이 정적, 부적강화 입니다.
예를 들면 조건이 "친구와 싸우지 말고 놀아" 라고 한다묜
정적처벌은 숙제 늘이기, 부적강화는 사탕 뺏기가 되겠습니다.
정적강화 - 긍정적보상물을주어강화
부적강화 - 환동에 보상물을 소거시키보 긍정적인것을제거하여 강화
벌 - 활동에있어 물리적인 부분에대해서 규제하기
참고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