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치과

경건한개미새67
경건한개미새67

치아는 왜 손톱이나 머리카락처럼 다시 자라지 않나요?

치아는 식사하는데에 아주 중요하기도 하고 쉽게 충치등으로 손상되어 치료나 건강에 큰 영향을 주는데요, 손톱이나 머리카락처럼 자라거나 다시 나면 참 좋을텐데 왜 치아는 영구치 이후에 다시 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우리는 치아를 만드는 조직을 평생 동안 두 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치와 영구치가 그것입니다. 치아를 만드는 조직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영구치 이후에는 새로운 치아가 나오지 않습니다. 또한 치아는 완전히 고도화로 석회화된 물질이기 때문에 혈관 등이 지나가지 않습니다. 손상이 된다면 치유가 되지 않기 때문에 손상이 된 부위를 제거하고 충전을 하는 치료를 받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

    치아는 상어처럼 계속해서 치아가 나지않고 유전학적으로 한번 발생한 뒤에는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치아를 만드는 세포가 발생을 멈춰버리는데요.

    치아가 발생한 이후에도 가장 겉에 있는 단단한 에나멜(법랑질)층은 무혈관 조직으로 재생이 되질 않고 내부의 상아질도 신경 부근에 상아질을 형성하는 상아모세포가 몰려있어서 안쪽에서만 재생되고 밖으로는 생성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최근에 이런 치아의 발생 메커니즘에서 치아의 발생 후에 치아를 형성하는 세포가 멈추는 것을 막아 치아의 발생을 다시 일으키는 메커니즘이 밝혀졌다는 연구가 발표된 바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치아의 손상이 발생한다면 새로운 치아를 배양해 다시 식립하는 치료방법이 나올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사실 아무도 알수 없는 사실이죠. 치아 재생을 연구하고는 잇다고 하니 추후에 연구가 끝나면 재생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유전적으로 그렇게 설계가 되어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발생학적인 부분으로 간단한 답변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모든 조직의 재생에는 세포가 필요한데요 치아를 구성하는 법랑질 세포의 경우 처음 영구치를 만들때 한번만 기능하고 다시 생기지 않습니다

    유전적인 문제인데 만약 이게 조절이 안되고 유전자 변이가 일어나면 엉뚱하게 치아가 계속 자랄 수 있기 때문에 몸이 알아서 조잘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