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계속 변동하는데 3년 약정으로 2프로대 적금을 유지하는게 나을까요
금리가 계속 변동하는데 3년 약정으로 2프로대 적금을 유지하는게 나을까요 지금 중도 해지하여 다른 상품에 투자하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2%대 적금은 낮지만 안정성이 있습니다. 금리 인상기에는 더 좋은 상품이 나오면 갈아타는 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중도 해지 시 이자 손실이 크므로 신중히 비교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2프로대 상품이라면 3년 약정은 크게 매력이 없어 보입니다.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도약계좌 같은 경우 5년 유지이긴 했지만 금리가 매력적이라 괜찮았는데,
2프로대라면 사실 금리가 추가 하락한다고 해도 그정도를 받을 수 있는 곳은 있을 것이라
현시점 굳이 3년 약정을 하시면서 유지할 필요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이에 1년 약정으로 가입을 하시거나, 금액을 조절하여 다른 상품과 병행하는 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남는 기간에 따라서 다를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해당 금융상품의 약관을 확인하시길 바라며
향후 금리인하가능성이 조금이라도 더 높은 점을 참고하셔서
결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이라고 한다면 금리가 인하가 된다면 이러한 적금의 금리도 따라 인하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금리가 상승이 된다고 예상이 된다면 해지를 하고 추후 가입을 하시는 것이 좋지만, 금리가 인하가 된다고 하면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명확한 투자처가 있다고 하시면 2% 이상의 수익이 가능하다고 하시면 해지 후 투자를 하시는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해당 상품을 유지하다가 금리가 인상되는 경우 불리할 수 있으며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금리를 동결했지만 하반기에 인하가 기대되고 있어 어떤 것이 유리할 지 판단해서 이용하시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가 게속 변동하는데 3년 약정 2퍼센트 대의 적금 유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는 지금 상황에서 다시 오르기는 힘들고
꾸준하게 내려갈 것으로 보이기에 3년 약정 2퍼센트 대면 아주 최악은 아닙니다.
다만, 확실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 방법대로 하시는 것도
좋은 투자 선택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변동하고 있다고 해도 3년 정도의 약정이라면 들고 있던 적금을 계속해서 드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중간에 적금을 해지하게 되면 위약금이나 수익액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은 기본적으로 고정금리라서 기준금리가 변동이 된다한들 변화가 없습니다.
이미 들어가신 것이 상당히 되셨다면 그냥 두시는 게 나으실거고
만약 별로 안되었는데 더 많이 주는 상품이 있다고 한다면 갈아타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일단 3년약정이고 적금인데 2%는 조금 낮은 것 같습니다.
만약 1금융권이시라면 개인적인 의견은 2금융권에서 3년 약정에 5% 정도 주는 상품들 조금만 찾아보시면 있으실 겁니다. 본인 지역 인근에 전화도 해보시면 좋습니다.
보통 3년 약정이면 이자를 좀 더 많이 주거든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2%대의 약정인데 2% 후반인지 초반인지도 중요합니다. 개인적으로 2%후반대라면 나쁘지는 않은 수준이라고 보입니다. 금리가 변동하더라도 당분간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은 개인적으로 낮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은 단기적으로 기준금리 인하추세이고 그러다보니 시장금리도 하락하는 추세이긴 합니다. 다만 이런 저금리 구조가 내년이나 지속적으로 이어지긴 힘들다고 보입니다. 현재 한국의 원화가치는 절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며 그러면서 수입물가 상승의 압박의 문제가 있으며 미국의 천문학적인 재정적자와 향후 미국의 신용리스크는 갈수록 더욱 흔들릴 가능성이 있으며 최근 스테이블코인으로 촉발한 금융경제의 어떤 변동성을 줄지를 알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의 2프로대 적금금리를 3년이상 길게 유지하기보다는 1~2년이내 단기적으로 유지하면서 시장의 흐름에 맞게 대응하는게 더 낮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2프로가 좀 넘습니다 말씀하신대로 3년간 2프로대 적금은 세후로 받으면 그냥 3년간 원금보전하는 수준인거죠
저라면 중도해지하고 다른 금융상품을 찾아볼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2%대 3년 약정 적음은 현 시점의 금리 환경에서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안정적인 상품입니다. 따라서 중도 해지 후 다른 적금으로 갈아타는 것은 이자 손실로 인해 추천하기 어렵습니다.
현재의 2%대 적금은 계속 유지하시고, 추가로 저축할 여유 자금을 투자 상품에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현재 금리가 낮아지면서 주식, 부동산 등 투자 시장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머니 무브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금자보호가 되는 범위 내에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의 특판 예/적금 상품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축은행의 경우 시중은행보다 비교적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라는 것은 원래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것이고, 오히려 향후 기준금리 인하될 가능성이 더 높아서 3년이라는 기간이 길 수 있지만, 유지하는 게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