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어법을 사옹했을 때에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무엇이 있을까요?
실제의 의미와는 전혀 반대로 표현을 하는 반어법의 경우에는 대화시에 어떤 효과를 얻을 수가 있나요?
반어법의 문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떤 능력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시적 표현은 '주제를 효과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어법 역시 주제 강조 효과가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반어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독자 또는 청자에게 강한 인상과 설득력을 부여하고 문장과 구술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반어법 말이나 문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말의 경우 말하기 전후의 상황을 파악하여 현재 표현하는 것이 어떤 것을 강조하는 지 유추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내가 큰 실수를 한 경우 상사가 "참 잘 했네요."라고 한다면 말 그대로 잘 했다는 것이 아니라 내가 실수를 한 상황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면, 나의 잘못을 강조하는 것이구나 라고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글의 경우 문장의 앞뒤의 맥락을 살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이 고갈될 우려가 있다는 판단으로 지금부터 매년 0.5%씩 8년간 4%의 국민연금을 더 내게하는 안이 야당에 의해 제안되고 여당이 동조함으로써 국회를 통과하였습니다. 현재의 문제 해결을 위해 미래세대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이번 정책 '참 대단한 아이디어가 아닐 수 없습니다.'" 라는 사설이 있다면, 여기서 참 대단한 아이디어라고 하는 것은 정말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앞의 문장을 보아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고민하지 않고 현재의 문제 해결을 위해 미래세대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것이 부당하다는 뉘앙스가 있으므로 비판적 반어법으로 쓰여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