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대찬고양이44
대찬고양이44

공공재개발과 일반재개발의 차이점은 어떻게되나요.서로의 장단점이궁금합니다

우리지역에 공공재개발과 일반재개발이 같이한다고합니다.

과연어느쪽이 더유리할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법적으로 해석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이란 단어가 들어가려면 둘 중 하나여야 합니다.

    1) 공공(국가 등)이 주최가 되어 진행하거나

    2) 공공자본이 50%초과하여 들어간 경우 입니다.

    일반적으로 공공 이란 단어가 붙어야 정부에서 힘있게 추진하기 때문에 유리한것으로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재개발의 경우 공공목적으로 lh와 같은 공기업이 시행사로 사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원주민의 권리행사에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사업진행이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민영재개발의 경우 이와 반대로 원주민 개인의 권리행사가 자유롭지만 이로 인해 갈등, 분쟁이 발생되고 사업이 지체되거나 취소되는 경우까지 발생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재개발은 한국토지주택공사나 SH 등 공공기관이 참여하여 낙후된 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공급하는 방식이고 민간재개발은 소유자들이 조합을 설립하여 직접 시행사를 선정하는 등의 업무를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큰 차이는 인센티브의 차이일 것이며 공공기관이 참여하면 용적률이 완화되고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지 않습니다. 또한 분담금을 대납 또는 저리로 지원해주지만.....50%를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해야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재개발이란 서울주택도시공사(SH),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적기관이 정비사업에 참여해 추진하는 재개발사업이다. 사업투명성·공공성을 강화하고 신속하게 재개발사업을 이뤄내려는 취지로 이뤄지는 사업진행방식입니다. 공공재개발의 혜택은 토지 등 소유자 동의요건의 완화(토지등 소유자 66.7%(3분의2) 이상), 사업기간 단축, 종상향 ,용적률 상향 ,분상제 적용 제외 ,기부채납 완화 등으로 요약됩니다. 다만 조합원 분양을 제외한 물량의 50%는 공공에 기여하는 차원에서 임대공급 분으로 배정됩니다. 이로 인해 아파트값 상승이 민간재개발로 진행 된 아파트값보다 떨어질 수 있습니다.
    민간재개발은 토지 등 소유자가 조합을 설립하여 직접 재개발 사업을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민간재개발의 가장 큰 단점으로 조합원들간의 이견이 발생하고 사업진행이 지연되는 일이 생기면서 조합설립부터 준공까지 약 10년이라는 기간이 소요됩니다. 부동산경기가 괜찮을 때 조합원에 가입을 하지 않는 토지소유자들에게 만족할 만한 보상을 합니다. 공공임대주택이 포함되지 않는다면 공공재개발한 아파트보다 가격 상승에 긍정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