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관련 용어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주식관련 용어를 보면 주가수익비율과 주가순자산비율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이 둘은 뭔가 비슷하면 서 다른건 같은데 각각 무엇을 뜻하는 용어 인가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은 PER이라고 해서, 현재 시장에서 매매되는 특정회사의 주식가격을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PBR인데,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시장가치비율로,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 거래되고 있는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주가수익비율이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수치를 의미하며
현재의 주가가 회사 순이익 대비 몇 배인지를 나타내 주는 지표 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이 낮으면 저평가된 기업 높으면 고평가된 기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이란 주가에서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수치를 의미하며,
현재의 주가가 회사의 순자산 대비 몇 배인지를 나타내 주는 지표 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이 1보다 낮으면 자산 가치보다 주가가 저렴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 가능합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은 기업의 순이익을 유통주식수로 나눈 EPS를 주가와 비교한 밸류에이션지표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기업의 현재 순자산을 주가와 비교한 밸류에이션 지표입니다
즉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을 유통주식수로 나눈 BPS를 주가와 비교한 밸류에이션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수익비율(PER) 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며 이 지표는 기업이 벌어들이는 수익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입니다.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로 이용됩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이며 기업이 가지고 있는 순자산에 비해서 주가가 얼마나 높게 형성되어 있는지 알아보는 지표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가수익비율과 주가순자산비율 용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가수익비율 (PER) 은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배율이 얼마인가를 나타내닌 지표로
PER이 낮은 경우에는 해당 회사가 거둔 이익에 비해서 주가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기업의 가치에 비해서 주가가 저평가 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PBR) 은 주가를 장부 가치로 나눈 것으로, 숫자가 작을수록 저평가 됐다는 뜻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즉,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이 높을수록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PER이 낮으면 기업이 저평가되었거나, 미래 성장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PER은 동일 업종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거나, 과거 해당 기업의 PER과 비교하여 현재 주가가 적정한 수준인지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기업의 수익성을 기준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즉, 기업의 순자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이 1보다 낮으면 기업의 주가가 순자산가치보다 낮다는 의미로, 기업이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BR이 높으면 기업의 주가가 순자산가치보다 높다는 의미로, 기업이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BR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거나, 자산 가치가 중요한 제조업이나 부동산 관련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기업의 재무구조를 기준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