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양파먹는타조141
양파먹는타조141

전기선 색깔이 비슷하면서 다르게 하는 이유는 뭔가요?

우리가 전등을 달거나 스위치를 달거나 할때 원선 자체가

색깔이 비슷한경우가 많거나 같은 색이 많은데요

이렇게 비슷하게 하면서 다르게 하는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배선 작업시 주회로선과 보조회로선의 굵기와 색깔을 다르게 하고 있는데요.

    보조회로선의 색상은 +-전류를 흐르게 하기 때문에 색깔은 비슷할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어요.

    그리고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선 색이 다른 이유는 공사작업 중의 선이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주회로라고 부르며 주회로에 들어오는선 3가닥과, 접지선 등을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선의 색상은 안전과 효율적인 작업을 위한 국제 표준과 규정을 따릅니다. 색깔이 비슷하지만 다르게 구분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첫째, 전기 시스템은 여러 전선이 하나의 케이블에 함께 묶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 전선의 역할을 쉽게 파악하기 위해 색으로 구분합니다. 이렇게 하면 설치 및 유지보수가 훨씬 효율적입니다. 둘째, 특정 색상은 특정 기능을 나타내어 전기 설비에서의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검정이나 갈색은 전원을, 파랑은 중성선을, 녹색과 노랑이나 녹색 줄무늬는 접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규저과도 일치하죠.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전선의 색깔을 구분 짓는 가장 큰 이유는 전선의 기능을 구별하기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

    전선의 색상은 국제 표준에 따라서 색이 지정이 되며 요즘의 접지선은 녹새-노란색 조합으로 색상이 지정 되어 있고,

    갈색, 흑색은 전압이 걸리는 선이고 청색은 중성선을 나타 냅니다.

    이렇게 구분을 해두면 어느 누가 와도 이건 이러선 이구나라고 바로 인식을 할 수 있어 작업 시에 안정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전선이 색상을 구분 짓는 것은 생산 효율성, 안정성을 위한 것이며,

    유지보수 시에도 용도와 위치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원선의 색이 같은 경우는 선의 색깔로 와이어가 연결된 포인트를 이해할수 있는거죠. 특히 모터의 경우 선이 거꾸로 연결되면 회전방향이 반대이므로 중요한 요인인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선 색깔이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른 이유는 안전성, 식별 용이성, 그리고 표준화를 위해서입니다 국가표준이기도하고 작업자들끼리의 약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