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쾌활한이구아나273
쾌활한이구아나273

곶감에 하얗게 난건 뭔가요???

제가 곶감을 엄청 좋아합니다,

그런데 먹을 때 가끔 곶감주변에

하얗게 곰팡이? 같은기 막 있는데요.

이 하얀 것은 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결같은카구227
    한결같은카구227

    안녕하세요. 한결같은카구227입니다.

    곶감 표면의 하얀 가루는 곰팡이가 아니라 '과당'입니다.

    과당은 포도당과 함께 과일 속에 들어있거나 포도당과 결합하는 당분을 말하며 주로 과일, 과즙 등에 들어있습니다.

    곰팡이가 아니니 안심하고 드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DTR동이입니다.

    곶감 표면의 하얀 가루의 정체는 과당, 포도당, 만니톨 등이 표면으로 나와 굳어진 것입니다. 과당은 과일이나 과즙에 들어있는 성분인데요. 주로 포도당과 함께 과일 속에 들어있거나 포도당과 결합하는 당분입니다. 이같은 성분들은 껍질을 벗겨 감을 말리는 과정에서 표면으로 나와 하얗게 내려앉은 것인데요. 특히 방부 처리를 하지 않고 자연건조된 곶감일수록 하얀 가루가 많이 생깁니다.

  • 곶감의 표면에 생긴 하얀 이물질은 곰팡이가 아니라

    과당과 포도당 등 당류로 이루어진 성분입니다.

    곶감의 수분이 마르면서 과당이 남게 되는데

    이것이 표면으로 나와 하얀 가루처럼 남게 됩니다.

    과당은 당류 중 단맛이 가장 강한 물질이며 곶감의 단맛을 한층 더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푸른색이나 회색빛을 띤 곰팡이와는 전혀 다른 물질이니

    안심하고 드셔도 됩니다.

  • 곶감 위의 하얀 가루는 당분의 종류 중 하나인 과당입니다.

    과당은 포도당과 함께 과일에 있거나 포도당과 결합하는 당분입니다.

    떫은 감의 껍질을 벗기면 과육에 포함된 당분이 과실 바깥쪽으로 나오게 되고,

    이것이 건조되고 농축되면 하얀 결정체가 됩니다.

  • 곶감의 겉에 뽀얀 가루는 달콤한 다당류 포도당의 영양성분이라고 합니다.

    감 건조과정에서 수분이 응축되면서 곶감이 하얀가루의 당류로 둘러쌓이게 됩니다.

    이 가루는 감의 특성인 떫은맛을 줄여주고 탄닌성분은 그대로 보존해줍니다.

    자연적으로 생긴 곶감의 하얀가루의 성분은 곶감을 썩지 않도록 보존해 주며 영양성분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답니다.

    감기의 기침 가래등 폐를 보호하고 눈의 건조증 완화에 도움이 되며 혀나 입에 염증 유발시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곶감은 신체에서 콜라겐 생성해주는 효능이 있는 식품으로 숙취해소에까지 도움이 되는 음식입니다. 곶감으로 생성 된 콜라겐은 피부에 좋을 뿐만 아니라 뇌출혈이나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곶감의 경우는 많이 먹으면 변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하루에 1~2개 정도가 적당하며 당뇨가 있는분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씨 에 붙은 과육질을 혀와 치아로 둥굴려 깨끗이 발라내면 혀 운동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왕인주 공인중개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곶감의 하얀 분말은 곶감을 말리면서 수분이 증발할 때 과당, 포도당 등의 당류가 남은 것으로

    몸에 지장이 없으며 오히려 더욱 단맛이 느껴지게 하는 것이므로 안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나는어디로입니다.

    곶감의 하얀 가루는 당분입니다. 곶감은 떫은 감의 껍질을 벗겨서 따뜻하고 바람이 잘 부는 곳에서 말린건데 수분이 빠져나올 때, 감 속에 있는 단 성분도 같이 나와서 하얗게 생기는데, 바로 이 하얀 가루가 당분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