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화이팅 신나게
화이팅 신나게22.07.13

6살아이는 어떻게 지도해야하나요??

6살 남자아이이고 성격은 내성적이지만 또래 친구와 놀때도 보면 잘놀아요. 제가 어린이집에는 계속 물어볼수가 없어 놀이터에가서 보면 잘놀드라구요.

그런데 요즘 들어, 친구와 다퉜다는 얘기, 또 어떤친구가 딴친구하고만 놀아 속상했다는 얘기 등등 집에와서 얘기하네요. 오늘은 또 친구가 장난으로 인형으로 쳤는데 하지마라고하고 한번참았는데 속상했는지 혼자놀았다고 합니다. 보면 요즘 아이가 친구들이 하는장난도 어쩔땐 넘기지만 또 소심하게 삐치기도 잘하네요. 걱정이 되어, 요즘 하도 뉴스에도 안좋은 기사가 나오고하여 아이들이 왕따를 시키나 아님 아이가 못어울리나 싶기도하여 어린이집에 전화해보니 선생님이 보실땐 아이가 절대 혼자놀지 않는다. 친구들과도 잘논다 이렇게 말씀해주시는데 아직 저는 마음이 편하지만은 않네요. 저는 몇번 아이가 블럭놀이나 놀이터서 혼자 놀았다는 말이 걸려서 아이에게 계속 상황이나 왜 블럭놀이 혼자할때 기분이 어떻냐물으면 이제 그만 얘기하라하고 아무렇지 않다고도하네요. 제가 이런 교우관계를 계속 물으면 아이에게 스트레스일까요? 그리고 제가 어떻게 지도해야할까요?? 아이가 어린이집 친구들과 잘어울리고 노는걸까요? 아이는 잘노는거 같으면서도 요즘 그냥 제기분이 불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어린이집에서 놀면서 친구와 다투기도 하고

    혼자 놀기도 합니다.

    아이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직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서의 아이들도 하나의 집단이고 살아가는 공동체입니다

    그렇기때문에 갈등도 싸움도 다툼도 아이들이 직접경험하면서 성장하는 것입니다

    너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친구와 놀면서 갈등이 생기기도 하고 또, 다투는 과정을 통해 사회성도 배워가기 때문에, 부모님께서는 객관적으로 따지기 보다는 아이의 마음을 헤아려 주는 것이 중요해요.

    아이들은 자라면서 수많은 다툼을 경험하며,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을 것이며, 별다른 화해 과정 없이도 언제 그랬냐는 듯 잘 어울릴 것이므로, 크게 걱정은 안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른 아이들과 어린이집에서도 잘 논다고 하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구요.

    아이의 자존감과 자신감을 길러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걱정되시겠습니다. 아이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부모님의 생각과 다르게 행동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선 지켜봐 주세요.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성향이 계속 바뀝니다.

    대신 아이와 진솔한 대화를 시도하면서 아이들 입장에서 대화를 해보시는 것을 권유드리고

    그래도 어려우시다면 전문기관의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심리상담사입니다.

    아직 어떤것이든서툴은 아이는 친구 관계에대해서 아이는 어려울수있어요

    그래서 이런 것들은 부모가직접어떻게하면좋을지 알려주고 잘못된것은 수정해주는것이좋아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서도 잘논다고 하고 아이도 이러한 것에 문제가 없다고 하면 그냥 지켜보는것이 좋습니다.

    굳이 무언가를 지도할 필요는 없을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스스로는 재미있게 논다고 생각하겠지만 가장 가까운 부모님이 보기에는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 생각됩니다. 먼저, 아이가 자신감이 부족한 상황으로 보여지는데 생활 전반에서 아이의 주도성을 키워주세요. 다양한 것을 스스로 해보고 직접 해보게 해주세요 예를들어 입고 싶은옷 고르기, 빨래널기, 식탁차리기 등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잇는 일을 직접하게 해주세요

    또, 혹시모르니 어린이집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유치원 담임 선생님과 아이의 교우관계에 대해 상담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엄마가 보는 입장과 선생님이 보는 입장이 다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3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자녀 스스로 관계를 판단할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친구관계를 현명하게 선택하기 바라는것이 부모의 마음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 스스로 무엇을 느끼는지, 언제 존중감을 받는다고 생각하는지, 중요한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판단내릴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와 민감한 감정을 교류할 수 있는 대화를 시도해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긴 안목으로 내다보세요. 어린이 우정은 종종 오래 가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흥밋거리나 활동을 우정으로 착각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진정한 인간관계를 형성해나가려면 만남과 헤어짐에서 배우는 것을 스스로 터득해나가야 합니다. 때때로 아이들은 무엇을 원하는지 알기 위해 싫어하는 것도 경험할 필요가 있습니다.

    질문자님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는 지금 여러 경험을 하며 잘 크고있는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