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너의목소리가들려
너의목소리가들려

중국에서 제품을 수입하여 공급하려고 할 때, 관세 제외하고 미리 알아두어야 할 규제 등이 있나요?

중국에서 제품을 수입하고자 합니다. 직접 사용할 것은 아니고 프로젝트로 공급하는 계약에 제품으로 들어갑니다. 식품은 아니고, 동식물도 아닙니다. 이런 경우 관부가세 제외하고 혹시 중국에서 수입을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단순히 물건을 들여오는 게 아니라 공급 목적이라면, 관세 외에도 꼭 확인해봐야 할 규제들이 있습니다. 먼저 전기전자제품이라면 전파인증, 전기안전확인, KCC 등록 같은 사전 인증 여부가 가장 중요합니다. 의류나 생활용품이라도 특정 품목은 KC 인증 대상일 수 있으니 품목번호 기준으로 확인이 필요하고요.

    또 제품 포장이나 라벨에 표시 의무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용상 주의사항, 제조자 정보, 수입자명 등 라벨링 요구사항이 충족되지 않으면 통관 자체가 보류될 수 있습니다. 식품이나 동식물이 아니더라도 성분이 섞여 있는 제품이면 환경부의 화학물질 관련 규제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 부분도 간과하면 안 됩니다.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해당 품목의 HS코드 기준으로 선행심사나 사전 FTA 검토를 받아두고, 그 코드에 적용되는 국내 법령을 미리 검토하는 방식입니다. 관세만 준비되어 있다고 통관이 다 되는 구조는 아닙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어떤 물품을 수입하는지에 따라 수입요건이 붙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관부가세적인 부분 외이도 해당 물품에 대한 수입요건이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하고, 이는 전문가인 관세사 등을 통해 상담을 받아보시면 더욱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중국산이라는 이유만으로 바로 문제 생기진 않지만, 계약 상대방이 원산지를 민감하게 보는 경우도 있어서 확인 한번쯤은 필요합니다. 또 미국 쪽 프로젝트거나 fta 원산지 조건이 걸려 있으면 중국산은 혜택 못 받는 구조라서 그 부분이 변수 될 수 있습니다. 기술규제나 kc 인증 대상인지도 한번 짚어봐야 하고요. 제품 성격 따라 수입요건이 다를 수 있어서 단순히 식품이나 동식물 아니라고 끝나는 문제는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관세사입니다.

    중국에서 제품을 수입할 때, 관세와 부가세 외에도 여러 규제와 절차를 미리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한데요. 특히 프로젝트용으로 공급하는 제품이라면, 수입 허가 및 인증 규제를 사전에 확인하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각 물품에 해당하는 인증 요건(KC 인증 등)을 미리 득하시면 수입 통관 절차 단계에서 신속하게 진행이 가능합니다. 또한, 중국에서 수입 시 금지되거나 제한된 품목은 아닌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화학물질이나 특정 소재는 수입 제한 대상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식품이더라도 안전 규제, 환경 규제, 라벨링 규정 등이 적용될 수 있으니 담당 관세사와 자세하게 상담받으실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