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침착한게142
침착한게142

주택연금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활용하나요?

주택연금 제도가 있다는 것은 아는데 주위에서 하는 분들은 많이 못본것 같아서요. 메리트가 있는지 없는지 궁금합니다. 주택연금 하시는분들 있는지와 어떤혜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주택연금은 한국에서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제도입니다. 주택연금은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그 집에 거주하면서 매달 연금을 받는 상품으로, 국가가 연금 지급을 보증합니다. 2024년 4월 말 기준으로 약 12만 6,700명이 주택연금에 가입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주택연금의 주요 혜택은 가입자와 배우자 모두에게 평생동안 거주를 보장하며, 부부 중 한 분이 돌아가신 경우에도 연금감액 없이 동일 금액을 지급합니다. 연금 지급 중단의 위험이 없습니다. 부부 모두 사망 후 주택을 처분해 정산하며, 연금 수령액이 집값을 초과해도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고, 집값이 남으면 상속인에게 돌아갑니다. 등록면허세, 지방교육세 감면, 소득세 대출이자비용 소득공제, 재산세 감면 등이 있습니다. 주택연금은 특히 노후 자금이 필요한 고령자에게 유용한 제도로,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나 현금 흐름이 부족한 경우 추가 소득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택연금 가입 전에는 제도의 조건과 혜택을 충분히 이해하고, 장기적인 재정 계획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택연금을 신청하는 분들이 많지는 않으나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주택연금은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시행하고 있는 연금제도로서, 소유하고 있는 주택을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하고 자기 집에 거주하며 대출받는 형식으로 연금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장점으로는 집은 가지고 있으나 소득이 적을 때 집을 바로 매각하지 않고 내집에 살면서 안정적으로 연금형식의 돈을 받을 수 있고, 연금 수령자가 장수하여 연금 수령액이 늘어났거나 후에 주택가격 하락으로 원금 상환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부족액이 연금 수령자의 자녀세대에게 청구되지 않으며, 주택 처분 뒤 처분액이 총 연금지급액보다 큰 경우에 잔액은 자녀세대에 상속되는 것입니다. 또한 주택연금에 가입하여 연금 수령하다가 주택 명의자가 사망하여도 배우자가 생존해 있으면 배우자 역시 사망시까지 해당 주택에 거주할 수 있으며 기존 연금과 동일한 금액이 지급됩니다.

    5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서는 25% 재산세를 감면해주고, 5억원 이상인 주택에 대해서는 5억원에 해당하는 재산세 25%를 감면해줍니다.

    가입조건은 주택 명의자인 본인이 만55세 이상이고 해당주택에 본인 또는 배우자가 실거주하고 있어야 하며, 공시가격 12억원이하의 1주택(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또는 2주택자이지만 공시가격 합이 12억원 이하라면 3년이내에 나머지 1주택 처분 조건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주택가격은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인정하는 시세를 적용하는데, 한국부동산원시세, KB시세, 공시가격, 공사와 협약을 체결한 감정평가업자의 최근 6개월 이내 감정평가액 순으로 적용합니다.  부부 중 나이가 젊은 연소자 연령 기준으로 월지급금을 산정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월지급금이 많아집니다. 가입기간 주택 가격 상승률 이자율등이 지급액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상연금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주택연금->예상연금조회에서 확인바랍니다. 연금 수령방식에는 종신방식, 종신혼합방식, 확정혼합방식, 대출상환방식, 우대방식 등이 있습니다.

  • 지방에 비해 도시에서 주택연금을 많이 활용합니다. 노후에 자녀에게 손을 벌리지 않도록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밪는 것이기에 점점 활용이 늘고 있습니다.

  • 주택연금은 주택을 담보로 정부에서 연금을 주는 형식입니다.

    소유권을 주택공사가 가지고 가고 대신 집주인은 연금을 받는 형식인데 나이든 부모님들께서 많이들 사용하십니다.

  •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내집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과 자식에게 물려줘야 한다는 생각이 깊습니다

    그래서 아직까지는 주택연금을 많이 가입하지는 않는거 같습니다

    주택연금 가입나이는 부부가 만 55세이상, 12억이하이면 가입가능합니다

    그윗세대들은 가입을 많이 안했는데 지금은 집값도 많이 오르고 해서 지금 세대들은 가입을 차츰 할거라봅니다

    국민연금과 주택연금을 같이 받는다면 삶이 훨씬 풍요로워 질거라 봅니다

  • 주택연금제도 이용자의 경우 예전보다는 늘어나고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그 비중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보통 60세이상 이용율은 10%가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연금의 혜택이 있다면 소득이 없는 노년층에게는 현 자가주택에 거주하면서 매월 연금을 통해 생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에 노후대비를 위해서는 매우 좋은 제도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이용가능 연령대의 이용이 낮은 것은 개인적판단으로는 자식들의 독립을 위해 끝까지 책임을 다하는데 집중하기 떄문에 정작 본인노후에 대한 준비를 할수 없는점이 가장 큰 이유가 될수 있습니다. 쉽게 자식들이 결혼이나 독립등을 위한 자금조달로 인해 정작 본인소유 자가주택도 노후대비용이 아닌 해당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입니다.

  • 주택연금 제도가 있다는 것은 아는데 주위에서 하는 분들은 많이 못본것 같아서요. 메리트가 있는지 없는지 궁금합니다. 주택연금 하시는분들 있는지와 어떤혜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주택연금을 신청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에 대해셔 제가 정리한 내용 url를 연결합니다. 필요하시면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신탁방식 주택연금" & "압류방지 통장"도입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