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눈부신여새30
눈부신여새3024.02.07

혀끝이 저린느낌인데 왜그럴까요?

나이
4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베타차단제
기저질환
고혈압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가만히 있을때는 혀끝이 싸한느낌이 들고 찬물 등을 마실때 혀끝이 쩌릿하면서 탄산음료를 먹는 느낌이 납니다. 음식을 먹을땐 별 느낌이 없어요.

혀끝돌기도 색깔이 약간 붉게 올라와있네요. 왜그럴까요? 비타민도 먹어보고 잘 쉬어보기도 했는데 별 차도가 없습니다.

입술도 살짝 따가운 것 같고요. 이러다 말겠지 하다가 3주정도 되었는데 이비인후과를 가봐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구강 작열 증후군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입 안에 아플 만한 상처가 없는데도 혀가 화끈거리거나 얼얼한 느낌이 들 때,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 증후군은 입 안에 통증을 일으킬 만한 병변이 없는 상태에서 구강점막, 특히 혀가 화끈거리는 느낌이나 이상감각(저린 느낌, 아리는 느낌, 표현하기 힘든 불편감)을 호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환자들은 혀끝과 혀 가장자리에서 불편을 느끼지만, 혀의 윗 표면, 입천장, 아랫입술에서도 불편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증후군은 주로 중년이나 노년의 여성에서 나타나며, 혀 점막에 균열 설(많은 수의 틈새나 고랑이 있는 경우)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구강검사를 통해 진단하기 어려우며, 혈액검사, 타액분비율 검사 등을 통해 혀에 작열감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배제한 뒤에야 확정적으로 진단됩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이라는 최종 진단은 환자가 구강통증을 호소하지만 구강검사를 통해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병변이 발견되지 않을 때 내리게 됩니다. 또한, 구강작열감증후군으로 진단된 후에는 일차성인지 이차성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일차성 구강작열감증후군은 혀를 포함한 구강점막에 통증이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는 신경생물학적 기능변화로 인한 신경병증(neuropathy)으로 추정됩니다.

    반면 이차성 구강작열감증후군은 구강작열감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입니다. 구강작열감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칸디다증(입안 곰팡이 감염), 빈혈, 비타민 부족(특히 비타민 B12), 아연 부족, 당뇨, 갑상선 기능저하 등이 있습니다. 이차성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원인 질환을 관리함으로써 구강작열감을 완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