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5.04

러시아에서 수입 수출하는 품목은 어떤게 있나요?

러시아가 전쟁으로 인하여 수입 수출하는것이 자유자재로 되지않을 것 같은데 러시아의 수입 수출품을 미리알아두면 좋을 것같아서 물어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러시아는 현재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으로 전 세계적인 고립 국면에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수출입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은 맞으며 러시아가 주로 수출하는 제품은 에너지 강대국이기다보니 석유 및 천연가스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석유와 천연가스의 생산략이 높아서 유럽 및 전세계로 에너지원을 많이 수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철강 및 철광석 등 원자재 보유랑도 많아 철강 분야에서도 대표적인 수출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러시아에서는 기계장비 전자제품 등을 주로 수입하고 있으며 의료기기와 자동차 부품류도 많이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전 세계적으로 수출입을 제재하고 있는 국면으로 러시아의 수출입 품목에 대해서는 향후 어떻게 진행될 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워낙 에너지자원과 철강 생산량이 뛰어나기에 이러한 제품군들의 수출은 줄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와 러시아의 수출입금액이 많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수출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동차나 자동차 부품, 중장비 석유화학제품 등이 많이 수출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수입의 경우 석탄, 석유가스나 어류 등의 수입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러시아의 2022년 교역액은 8,505억 달러로 전년 대비 8.1% 증가하였습니다. 이 중 수출은 5,915억 달러로 전년 대비 19.9%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2,591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7% 감소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1년간 무력수지 흑자액은 3,320억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러시아의 10대 주요 교역국 중에서는 중국이 1위를 차지하며, 네델란드, 독일, 벨라루스, 터키, 한국, 이탈리아, 카자스탄, 영국, 미국 순으로 나타납니다.

    주요 수출 품목 증가율은 니켈, 비료, 화석연료(가스, 원유), 구리, 목재, 식료품, 철강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주요 수입 품목 감소율은 차량, 가구, 귀금속, 가죽제품, 광석·슬래그, 유리, 의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한국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발발 전(무역 재제 전)에는 러시아가 10대 교역대상국이었으며,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 비중은 전체 수입의 무연탄 40.8%, 우라늄 33.9%, 나프타 23.4%, 유연탄 16.3%, 천연가스 6.7%였습니다.

    또한, 국제사회는 ‘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러시아, 벨라루스에 대한 경제제재의 일환으로 수출통제 강화 조치를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이러한 對러/벨 수출통제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현재 러 - 우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미국, EU 등 주요국은 對러/벨 수출통제 품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전쟁 발발 1주년에 해당하는 ‘23년 2월 24일을 계기로 미국은 7번째 對러/벨 수출통제 품목 추가 조치를 발표했으며, EU 역시 제10차 제재 패키지를 통해 수출통제를 강화하였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현재 러시아로의 수출은 물류의 문제 등으로 막혀있기 때문에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리고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미국의 FDPR에 따라서, 수출제한이 걸려있기 때문에 수출자체가 금지된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러시아와 주로 수출, 수입하는 물품들은 자동차, 광물연료(천연가스 등)이었으며, 자세한 통계자료는 아래 사진을 참고부탁드립니다.

    (수출품목 금액상위)

    (수입품목 금액상위)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러시아에서는 2022년 1월 이후로 IMF에 수출입 통계를 제공하고 있지 않아 품목별 정보를 확인 하기는 어려우나

    주요 수출품목은

    7501.10호의 니켈 매트

    0304.75호의 명태

    2711 천연가스 류 등입니다.

    아래의 차트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러시아의 수입액은 급감하였으나 수출액은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한 수준을 보였었습니다. 다만 이 자료는 2022년 초기의 자료임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1. 관세청의 수출입무역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와 러시아연방의 2022년도 수리일 기준 품목별 국가별 수출입실적은 2022년도 총수출금액 미화 63억 1954만 달러, 총수입금액 미화 148억 1227만 달러로 차액 미화 84억 9272만 달러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2. 주요 수출품목은 1) 자동차(HS 87류) 미화 14억 5061만 달러, 2) 전기기기(HS 84류) 미화 11억 6018만 달러, 3) 철강제품(HS 73류) 미화 6억 7196만 달러, 4) 플라스틱제품(HS 39류) 미화 6억 3413만 달러, 5) 전자기기(HS 85류) 미화 3억 3705만 달러 순이고,

    3. 주요 수입품목은 1) 천연가스(HS 27류) 미화 111억 5734만 달러, 2) 어류(HS 03류) 미화 14억 1570만 달러, 3) 철강판(HS 72류) 미화 5억 18만 달러, 4) 알루미늄(HS 76류) 미화 4억 3674만 달러, 5) 무기화합물(HS 28류) 미화 3억 2316만 달러 순입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보니 우리나라와 러시아간 교역하는 물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3월, HS 4단위 기준)

    1. 수출 (한국 > 러시아)

    2. 수입 (러시아 > 한국)

    관련사이트 링크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s://stat.kita.net/stat/kts/ctr/CtrItemImpExpList.screen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