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을 때 효과적인 훈육 방법은 무엇인가요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습니다. 초등 고학년 여자아인데, 이야기 하면 잔소리로 듣고, 이상한 표정을 지으며 저는 따라합니다. 정말 화가나지만 때리지는 않고 있습니다. 어떻게 훈육해야 하나요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을 때
효과적으로 훈육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평소 아이와 대화를 자주 나누면서 정서적 유대관계를 쌓아가는 것입니다.
훈육을 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부모님의 말을 잔소리로 듣고 이상한 표정을 지으며 부모님을 따라하는 행동은
아이는 현재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있어서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 자기 잘못을 제대로 인지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 입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아이의 모든 행동을 stop 시키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부모님이 이야기를 하는데 부모님의 이야기를 잔소리로 듣고 부모님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이러한 행동들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행동은 한 번의 훈육으로 나아지지 않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매일 밥상머리 교육 시간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며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라면 사춘기가 오는 시기일수도 있겠는데요. 아이와 충분한 대화가 필요한시기이기도 합니다. 불편한 부분이 있을 때 이러한 상황에서 00이는 어떻게 하면 좋겠니? 라고 아이에게 질문을 해주시고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여 이야기해 볼 수 있게 해주세요. 강압적으로 하시는 것보다 아이의 말을 들어주고 공감해주며 대화로 풀어나가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는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운다는 점을 활용하세요. 긍정적인 행동을 스스로 실천하여 아이게게 본보기가 되어 주셍. 아이가 바른 행동을 했을 때 즉시 칭찬하거나 보상을 주세요. 작은 보상을 통해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보려 노력하세요.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려고 하고,, 그 감정을 인정해주세요. 이해해 너도 힘들지와 같은 말로 감정을 공감해줄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어떤 행동이 기대되는지 명확하게 설명하세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는다면 우선은 부드럽게 대화를 나누어 왜 말을 듣지 않는지 파악하는 게 좋겠습니다. 아이를 타이르면서 말을 잘 듣고 약속을 잘 지킬 때마다 칭찬과 격려를 건네 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재를 가하는 것은 아이의 성향을 고려하여 최후의 수단으로서 활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말을 잘듣지 않을때 효과적인 훈육방법으로 아이를 부드랍게 타이르며 대화로 문제를 해결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