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블랙체리의향기
블랙체리의향기

미국과 중국이 이번주에 우리나라 제주에서 관세 2차 담판이 있을 것이라고 하는데, 왜 제3국인 한국에서 개최하는가요?

미국과 중국이 이번 주에 제주에서 관세 2차 담판을 한다고 하는데, 왜 제3국인 우리나라에서 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미국이나 중국이 직접 와서 하는 것도 아니고, 왜 굳이 제주를 선택했는지도 궁금하고요. 제주가 특별히 좋은 장소인지, 아니면 중립적인 곳이라서 그런 건지 모르겠어요. 앞으로 이 일이 어떻게 진행될지도 모르겠고, 참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제주는 중립적인 장소이며, 안정적인 외교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제주에서 미-중 관세 협상이 개최되는 이유는 APEC통상장관회의와 일정을 맞추어 열리는 것으로 예측됩니다. 표면적인 이유는 APEC회의 일정에 맞춘 것이지만 제주가 선택된 이유는 양국간의 이해관계에 있기 때문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미중 관세 협상에 따라 세계 경제 및 우리나라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원만한 협상이 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이번에 제주에서 열리는 APEC 통상장관회의가 열리면서 미중 관세 협상을 이끄는 중국 측 대표인 리청강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담판 대표 겸 부부장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리 부부장의 2차 관세에 관한 회의가 자연스럽게 제주에서 개최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중국이 이번 주 제주도에서 관세 관련 2차 담판을 진행하는 이유는, 제주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의 개최지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회의에는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21개 APEC 회원국의 통상장관들이 참석하여, 다자간 협력과 무역 자유화, 지속 가능한 성장 등을 논의합니다 . 따라서 제주에서의 미중 담판은 APEC 회의의 일환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제주도가 선택된 또 다른 이유는 중립성과 외교적 상징성입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의 첫 담판에 이어, 제주도는 동북아시아의 중심에 위치하면서도 정치적 긴장이 적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 미국과 중국 모두와 긴밀한 경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양국이 부담 없이 협상할 수 있는 장소로 적합합니다. 이러한 중립적인 환경은 민감한 무역 협상에서 상호 신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의 협상 진행은 미국과 중국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 양국은 90일간의 관세 유예 기간을 설정하고 추가 협상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는 향후 무역 정책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입니다. 아울러 현재 무역전쟁의 가장 중심은 미중 분재잉기에 이러한 결과에 따라 향후 세계 경제의 방향성이 결정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APEC을 우리나라에서 개최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의 고위급 인사들이 대거 참석하여 자연스럽게 관련 협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누군가가 협상의 자리로 직접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국제적인 행사개최의 목적으로 자연스럽게 모여 실무적인 협상도 진행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중국이 제3국인 한국, 그중에서도 제주에서 관세 협상을 진행하는 배경에는 중립성과 외교적 상징성이 작용합니다. 양국 간 긴장이 누적된 상황에서 직접적인 국가 방문은 정치적 부담이 클 수 있기 때문에, 제3국에서 회담을 여는 것이 협상 분위기를 완화하는 데 유리합니다. 한국은 두 나라 모두와 안정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중재적 역할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위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제주도는 국제회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외교행사 경험도 풍부해 회담 장소로 자주 선택됩니다. 자연 친화적인 환경과 격리된 지리적 특성은 경호와 보안에도 유리하며, 비공식적인 분위기 속에서 유연한 논의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제주가 협상 장소로 선정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