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관자놀이 멍울, 지끈거리는 통증이 있는데 무슨병원에 가야하나요?
몇 개월 전부터 아주 가끔씩 왼쪽 관자놀이가 지끈 거리다가 괜찮아지고를 반복하는데,
오늘 만져보니 작은 멍울이 만져지는것 같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관자놀이 부근의 멍울과 지끈거리는 통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근육 긴장이나 혈관 문제일 수도 있지만, 드물게는 다른 질환의 징후일 수도 있습니다. 25세 남성분이시고 프로페시아를 복용 중이시라면, 약물과의 연관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신경과 또는 일반외과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경과에서는 두통의 원인을 파악하고 신경학적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외과에서는 멍울의 성격을 확인하고 필요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단순히 지끈거리고 괜찮아지는 등의 증상이라면 신경과적으로 진료 및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만, 실질적으로 멍울이 만져지거나 한다면 그보다는 신경외과 쪽으로 가서 진료 및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왼쪽 관자놀이에 반복적으로 지끈거리는 통증이 있으면서 만졌을 때 멍울이 느껴진다면, 먼저 신경과를 방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관자놀이 통증은 측두혈관염, 신경통(삼차신경통 등), 혹은 근육 긴장으로 인한 두통 등 다양한 원인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져지는 멍울이 림프절이나 피지낭종일 가능성도 있으며, 통증과 함께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단순 긴장성 두통보다는 조직적인 원인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요
작은 멍울이 있는 경우 피부과나 외과에서도 진단이 가능하지만, 통증이 동반되고 위치가 관자놀이인 만큼 신경계 문제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측두동맥염처럼 시력이나 뇌혈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은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므로, 단순 증상으로 넘기지 마시고 증상이 반복되거나 악화된다면 빠르게 전문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 시 CT나 초음파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