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호 리액터의 용량을 구하는 공식이 ωL = 1/3ωC 이라고 하는데요. 3상에서는 capacitor가 3개 이므로 ωL = 3/ωC이 되어야 하지 않나요?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에서 소호 리액터의 용량을 구하는 공식이 ωL = 1/3ωC 이라고 하는데요. 이것은 리액터가 capacitor의 리액턴스를 상쇄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3상에서는 capacitor가 3개 이므로 ωL = 3/ωC이 되어야 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소호 리액터는 지락 사고 시 발생하는 아크를 억제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질문자님이 혼동하고 있는 부분은 각 상의 리액턴스 값이 전력계통 전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소호 리액터의 공식에서 \( \omega L = \frac{1}{3} \omega C \)는 단상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된 것이라, 실제 3상 시스템에 그대로 대입하기 복잡할 수 있습니다. 3상 시스템에서 이러한 관계는 총계적인 리액턴스를 상쇄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각 상에서의 리액턴스 조합이 공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해 시스템의 전체 리액턴스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 \omega L = \frac{1}{3} \omega C \)라는 표현이 전력 시스템의 효율적인 동작을 위한 리액터 설계에서 사용되는 것이지, 단순히 3개의 콘덴서를 고려하여 공식이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추가로 시스템의 중성점 조건에 따라 리액터의 적용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니, 실무 적용 시 자세한 시스템 분석이 필요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소호 리액터의 용량을 구하는 공식에서 ωL = 1/3ωC가 사용되는 이유는 리액터와 커패시터가 각각 1상씩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3상 시스템에서 각 상에 대해 리액터와 커패시터가 개별적으로 상쇄되므로 전체적으로는 1/3 비율이 적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소호 리액터의 용량을 구하는 공식에서 ωL = 1/3ωC이 적용되는 이유는 3상 시스템에서 리액터와 커패시터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리액터는 각 상에서 발생하는 커패시터의 리액턴스를 상쇄하는 역할을 합니다. 3상 시스템에서는 각 상에 커패시터가 1개씩 존재하므로, 리액터의 용량은 전체 시스템의 리액턴스를 상쇄할 수 있도록 1/3로 계산됩니다. 3개의 커패시터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리액터는 이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상쇄하기 때문에 공식이 ωL = 1/3ωC로 정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ωL = 1/3ωC 소호 리액턴의 공진 리액턴스를 나타냅니다.
3wCE² 은 3상 시스템에서 소호 리액터의 용량을 나타는 공식이며
3상 시스템은 각 상에 대해 대지 정전용량이 c 일때 전체 대지 정전용량은 3c 입니다.
3개의 상에 대해 개별적으로 리액턴스가 상쇄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ωL = 3/ωC 가 아니라
ωL = 1/3ωC 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