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알티스
알티스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지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지급준비금제도는 금융기관이 예금자에게 지급할 수 있는 예금의 일부를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인데요. 그럼 대략 어느정도 예치해 놓나요? 그리고,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지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지급준비금 비율은 금융기관이 예치한 예금의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이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유동성을 관리하며, 인플레이션이나 경기 과열을 억제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지거나 낮아질 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지급준비금 비율의 평균 수준

    국가마다 다르며 통상 3~10% 수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과거 지급준비금 비율을 약 0~10% 사이로 운영했으나,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지급준비금을 사실상 **0%**로 낮추어 유동성을 최대한 공급했습니다.

    한국의 지급준비율은 일반 예금에 대해 약 7%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

    2.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질 때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유동성 감소

    은행이 중앙은행에 더 많은 자금을 예치해야 하므로, 대출로 풀리는 자금이 줄어들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시장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줄어들어 경제 활동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2. 금리 상승

    은행이 대출할 수 있는 돈이 줄어들면 대출금리가 상승합니다.

    금리 상승은 소비와 투자를 억제하여 경기 냉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3. 인플레이션 억제

    시장의 유동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경기 과열을 완화하거나 통화 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로 사용됩니다.

    4. 금융 안정성 강화

    은행이 보유한 지급준비금이 많아지면, 갑작스러운 예금 인출 사태(뱅크런)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강화됩니다.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3. 지급준비금 비율이 낮아질 때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유동성 증가

    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자금이 줄어들어, 시장에 더 많은 자금을 대출할 수 있게 됩니다.

    경제가 침체 상태라면, 이러한 유동성 증가는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경기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금리 하락

    은행이 대출 여력을 확대하면서 대출 금리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저금리는 기업과 개인의 차입 비용을 줄이고 경제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

    3. 인플레이션 가능성

    유동성이 증가하면 소비와 투자가 활발해지고, 이는 물가 상승 압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유동성은 인플레이션이나 자산 거품을 초래할 위험이 있습니다.

    ---

    4. 지급준비금 비율 조정의 목적

    경기 과열 시: 지급준비금 비율을 높여 시장의 유동성을 억제하고, 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을 억제합니다.

    경기 침체 시: 지급준비금 비율을 낮춰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금리를 낮춰 경기 활성화를 유도합니다.

    중앙은행은 이러한 지급준비금 비율 조정을 통해 경제 상황에 맞는 통화정책의 주요 도구로 활용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급 준비율이 높아지게 되면 시장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줄어 들게 됩니다. 따라서 물가가 안정화 될 수 있지만, 시장 경기가 둔화되는 악영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경기가 과열되어 물가가 급등하는 이상 현상 발생시 진행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지급 준비금 비율이 높아지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시중의 돈을 흡수해야 해서

    인플레이션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급준비율이 높아지면 은행이 더 많은 자금을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기 때문에 대출 여력이 줄어들어 통화량 감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장 소비는 위축되고 이로인해 투자도 감소하죠. 경제 성장이 둔화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지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합니다. 지급준비금 제도는 금융기관이 예금의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으로, 비율이 높아지면 은행의 대출 여력이 줄어들어 통화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소비와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제가 침체기에 접어들면 높은 지급준비금 비율은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업과 개인의 대출이 줄어들고, 이는 소비 위축과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제가 과열될 경우 지급준비금 비율을 높여 통화량을 조절함으로써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지급준비금 비율은 0%에서 7% 사이로 차등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율 조정은 주앙은해의 통화정책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지급준비금 비율의 변화는 금융기관의 대출 능력과 시중 유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궁극적으로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지면 금융기관은 중앙은행에 더 많은 금액을 예치해야 하므로 대출 등에 활용할 자금이 줄어듭니다.

    이렇게 되면 시중 유동성을 감소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키게 됩니다.

    이로 인해 경제활동이 둔화되고 투자와 소비 감소로 경제성장률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지급준비금 비율은 현재 우리나라는 3.5%입니다.

  •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시장에 돌아다니는 유동성의 양을 줄인다는 것입니다.

    마치 금리를 올리는 것과 같이 긴축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아무래도 경기가 위축되고 물가 하락 실업유발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급준비금 비율이란 은행이 고객 예금의 일부를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첫째,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지면 은행이 중앙은행에 더 많은 자금을 예치해야 하므로, 대출할 수 있는 자금이 줄어듭니다. 이는 시중의 통화량 감소로 이어지며, 경제 활동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

    둘째,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지면 대출 자금이 줄어들어 금리가 상승하게 됩니다. 대출 금리 상승은 기업과 가계의 자금 조달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는 소비와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셋째, 반면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지면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은행들이 대출을 줄이게 되어 과도한 신용 창출이 억제되고, 경제 과열이나 버블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지급준비금 비율이 높아지면 통화량 감소와 금리 상승으로 인해 경제 성장이 제약되지만, 동시에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이 강화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에 따라 조정하는 중요한 경제 안정화 도구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급중비율은 금융상품에 따라 다르게 적용이 되고 있는데요. 한국은행에서 정해놓은 지급준비율은 저축성예금 상품은 2.0%이고, 수시입출금식(요구불예금)은 7.0%를 적용하게 되어 있습니다.지급준비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신용창조 금액은 늘어나게 되고, 반대로 지급준비율이 높아지면 줄어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