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세 도입이 기업의 생산 비용 구조와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파급 효과
탄소세라고 말이 많은데, 탄소세는 친환경을 유도하기 위한 목표로 지정이 되었으나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탄소세를 도입하면서 기업의 생산 비용 구조와 소비자 물가에는 어떤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탄소세 도입에 대한 내용입니다.
탄소 관련된 정책에 맞추기 위해선 결국 생산 비용이 오르게 되며
이게 물건 가격에 전가 되기에 소비자 물가도 오르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소세는 기업의 생산비를 높여 단기적으로 물가 상승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친환경 기술 개발을 촉진해 에너지 효율 개선과 산업 구조 전환을 이끕니다. 초기엔 비용부담, 이후엔 혁신 유인이 함께 작동하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소세와 같이 환경에 대한 세금을 부과하여 친환경으로 갈수록 기업의 입장은 생산의 효율이
올라가기 보다 비효율과 고비용으로 가게 됩니다
따라서 환경을 위해서 투자를 하게 되면 경제적으로는 비효율적이지만 환경을 위해서
지금 당장의 효율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소세가 도입되면 비용이 증가해 기업의 생산비 구조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최종적으로 제품 가격에 전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가의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소세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배출 범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게 되며 직접배출의 경우 공정에서 사용하는 석탄, 천연가스, 연료유 등의 사용량에 배출계수와 세율을 곱한 만큼 즉시 비용이 증가할수 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톤당 50달러의 탄소세가 부과될 경우, 철강업체는 고로 1톤당 톤당 90-110달러의 추가 비용을 부담하는것으로 알려져있고 이는 기존 철강 가격의 10-15%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업계 수익성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빆에 없습니다.
거기다가 한국의 전력 탄소집약도가 낮은 수준으로 탄소세 부과는 국내의 발전소에도 이런 탄소세의 영향으로 가격이 올라가는 효과로 이어지게 되며 이는 제조업 전반의 기본 운영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로 인해서 인프라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시멘트, 철강, 석유화학, 알루미늄 등 에너지 집약적 산업은 매출액 대비 5-15%의 탄소비용 부담을 지게 되어 경쟁력이 크게 약화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의 비용단가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결국 이는 국내의 전반적인 비용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며 각종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비용상승으로 실제 만들어지는 재화의 상승과 전기료까지 상승으로이어져 전반적인 물가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소세 도입은 기업의 생산 비용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고 이 비용은 연쇄적으로 모든 관련 산업의 가격을 인상시키는 간접 비용으로 전가되어 경제 전반에 충격을 줍니다. 특히 철강이나 석유화학 같은 탄소 다배출 산업은 세금 부담 때문에 국제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게 되며, 이는 장기적으로 생산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강제하는 강력한 동인이 됩니다. 소비자 물가 측면에서는 기업이 증가한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발생하는데, 이는 에너지와 생필품 가격에 특히 민감하게 작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세금을 부담하게 되므로 저소득층의 가계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조세 역진성 문제가 필연적으로 대두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소세가 생기면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비 부담이 늘어납니다. 특히 철강, 시멘트, 정유처럼 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은 타격이 크죠. 보기에 세금 자체가 추가 비용으로 작용하니까 제품 단가를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 부담이 소비자 가격으로 옮겨 초기엔 물가가 조금 오르겠지만, 기업들이 에너지 효율을 높이거나 친환경 공정으로 바꾸면서 장기적으로는 안정될 가능성이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초기 비용과 지속가능성이 아직 기술력이 받아지는지가 의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