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아이 훈육은 몇개월 부터 하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아이를 올바르게 키우려면 훈육은 필수 불가결일텐데요

그런데 너무 일찍 혼내면 오히려 안좋다고 하더라구요

보통 몇개월 정고가 훈육 시작하면 좋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먼저 훈육에 대한 생각을 바꾸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훈육은 아이를 혼내는 것이 아니라 아이에게 바른행동과 잘못된 행동을 가르치고 하지말아야 할 이유와 바른 행동을 해야하는 이유를 가르쳐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른 습관을 들이기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이며 일관되게 가르치는것이므로 혼을 낸다는 훈육방법은 옳지 않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너무어린개월수이면 훈육을 해도 아이가 알아듣지 못하고 이해를 하지 못해서 큰 효과가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훈육이란것은 아이가 부모와 어느 정도 소통이 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다음에야 하는 게 효과적인데요. 보통 전문가들은 36개월 정도 지나야 훈육이 효과적이라고 말해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훈육시기는 만3세로 보고있으며 이시기부터 아이가 어느정도 행도에 대해서 교정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이전에는 위험한것에 대해서만 안돼 라고 말해주고 가르치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시기는36개월만3세이후

    이전라도 위험한 행동에대한 통제는필요하니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식적인 훈육은 36개월 부터 하는게 좋겠지만 안되는것을 가르쳐 주는것은 18개월 부터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의 정의를 '해야할 행동을 하게 하고 해서는 안되는 행동은 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라고 할 때, 일찍부터 알려줄 필요는 있겠습니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혼내거나 강요하는 식의 훈육이 되어 버리면 역효과만 있습니다. 보통 만 3세 전후가 되었을 때 의사소통도 원활해 지고 아이의 인지적인 수준도 충분히 발달을 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그 때부터 본격적인 훈육을 하시되 그 전에도 안전이나 건강 상의 이유로 해서는 안되는 일이 있을 때는 단호하게 안된다고 알려주실 필요는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훈육은 아이가 말귀를 알아먹는 시기 부터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돌이 지나고 부터 훈육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아닌 것은 단호하게 그 행동은 안돼 라고 말을 해주시고, 왜 그 행동이 안되는 것인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 훈육은 아이의 발달 수준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아이가 생후 8개월부터 훈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가 기본적인 규칙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부모의 말에 대한 반응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훈육은 아이가 언어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시기인

    3-4세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너무 어린 경우 아이가 훈육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부모의 무서운 표정에 스트레스만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득이하게 아이를 훈육하게 된다면 아이와 부모와의 소통이 어느정도 되는 만3세정도에 하는것이 효과적이기는 합니다. 아이를 훈육할때는 아이가 이해 할수 있는 수준에서 해야하며 성장속도와 특성을 고려해서 적절한 훈육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두돌 이전에는 아이들이 훈육을 하더라도 이해를 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만3세 이후부터 훈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훈육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다만 훈육할 때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