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부호 '?'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아하에 질문을 올리다보면 가장많이 사용하게 되는 문장부호가 '?'인것같아요?
물음표의 유래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물음표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물음표는 라틴어 Quaestio(물음)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중세 서유럽에서 의문문에 대한 약자를 Qo로 쓴 것에서 비롯되었는데 시간이 흘러 Q가 소문자가 되어서 위로 올라가고 o가 아래로 내려갔다고 합니다. 더 많은 시간이 흘러 그것이 부호처럼 단순화되어 현재 쓰이고 있는 물음표의 형태가 되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물음표? , 즉 question mark 는 사람의 귀 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고 합니다. 라틴어 의 Quaestio (물음)에서 온 것인데 의문문을 표시할 때 중세 서유럽에서 약자를 Qo로 쓴 것에서 비롯되었는데 나중에 Q가 소문자가 되어서 위로 올라가고 o가 아래로 내려가서 간소화해 현재 쓰이고 있는 물음표가 되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의 첫 출현은 1200년 전인 9세기라고 추정되고 있고
너무 오래전이라 정확한 기원은 아직 연구되지 못했지만
제일 흔한 설은 의문문을 표시할 때 중세 서유럽에서 약자를 Qo로 쓴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단 것입니다
퀘스천 question 의 큐 인거죠.
이걸 필기체로 쓰다보니
Q는 소문자가 되면서 점점 올라가고
o는 반대로 내려가면서 대충 점찍은 걸로 퉁쳐서
지금의 갈고리 밑의 점 모양이 것이라고 합니다.
그밖에는 고민하는 사람의 모습이라는 설과
마침표 위에 음올려 읽으란 뜻으로~를 넣던게 휘어졌단 설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물음표의 유래는 먼저 인간이 쭈그리고 앉아서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모습을 본 뜬 것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다음은 물음표의 어원인 고대 라틴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라틴어에서 질문을 나타내는 단어인 "quaestio"(질문)가 기원입니다. 중세 시대 필경사들은 문장을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quaestio"를 "qo"로 줄여 썼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q"는 위쪽으로 구부러졌고, "o"는 아래에 남아 현재의 물음표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이러한 형태가 문장의 끝에 질문이 있다는 것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고, 오늘날의 물음표가 되었다는 것입니다.